그린피스 “삼성, 갤노트7 재사용 대책 마련해야"

'갤럭시를 구하라' 캠페인 전개...“고객 신뢰 얻을 것”

방송/통신입력 :2016/11/01 09:28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일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를 단순 폐기할 경우, 엄청난 양의 자원이 낭비된다고 지적하고 자원 재사용 방안 등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를 위해, 그린피스는 전세계 시민들과 함께 '갤럭시를 구하라' 캠페인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독일의 환경 영향성 조사기관인 외코인스티투트(OEKO Institute)에 따르면, 현재까지 생산된 430만 대의 갤럭시노트7에는 엄청난 양의 귀금속 및 희소금속 등이 사용됐다. 여기에는 금 100kg, 은 1000kg, 코발트 20000kg, 팔라듐 20~60kg, 텅스텐 1000kg 등이 포함돼 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이현숙 선임 IT 캠페이너는 "갤럭시노트7 사태는 아직 완전히 마무리된 것이 아니다. 수거 되거나 창고에 방치된 제품들을 얼마나 친환경적 방식으로 처리하는지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삼성전자가 자원의 재사용이 가능한 순환 경제를 위한 결정을 내린다면, 고객들의 신뢰를 다시금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연합위원회는 만약 휴대폰의 95%가 효율적으로 재사용된다면, 휴대폰 업계는 약 10억 유로 이상의 원재료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자료=그린피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의 연이은 발화 사고로 인해 출시 2개월 만에 해당 모델을 단종 처리했고, 이미 판매한 제품에 대해 회수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총 430만 대가 생산됐고, 미국, 중국, 싱가포르를 포함해 전세계 10여 개국에 180만 대 이상이 판매됐다.

발 빠른 대처로 사태는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까지도 폭발 사고의 명확한 원인과 더불어 이미 생산됐거나 회수된 제품의 처리 방안에 대해서도 침묵하고 있다.

그린피스는 '갤럭시를 구하라' 캠페인을 통해 삼성전자가 이번 갤럭시노트7 사태를 계기로 현명한 자원 활용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전세계 시민들의 서명(greenpeace.org/korea/savethegalaxy)을 받아 삼성전자에 직접 전달할 방침이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자원 재사용 문제는 단순히 갤럭시노트7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대부분의 전자제품 제조사들은 수명이 다한 제품의 수거에 적극적이지 않으며, 수거된 제품을 대부분 단순 폐기 처리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 폐휴대폰의 수거 및 재활용률은 20%를 밑돌며, 한국의 경우 4%에도 미치지 못한다.

갤럭시노트7과 전용 케이스. 갤럭시노트7 사용자들은 노트7 전용으로 구입한 액세서리 제품에 대해 확인 절차를 거쳐 환불을 받을 수 있다. (사진=씨넷)

그린피스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재활용률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제품의 초기 생산 단계에서부터 이런 사항들이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즉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수리가 쉽고, 재사용이 쉬운 제품을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이 캠페이너는 “전자 기기에 쓰인 막대한 자원을 감안하면, 기기에 대한 재사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면서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제품 생산 방식도 변해야 하고, 제품 디자인도 재사용을 염두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린피스는 갤럭시를 구하라 캠페인을 시작으로 전자 제품의 재사용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이달 10일에는 외코인스티투트에 의뢰한, 전자 제품에 쓰인 자원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를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