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뱅크, 16억 예산 쓰고 수출은 3천만원 불과"

윤종오 의원 "불 콘텐츠 없기 때문…사업활성화 방안 찾아야"

방송/통신입력 :2016/09/29 09:25    수정: 2016/09/29 09:43

‘한국형 유튜브’를 지향하고 있는 'K콘텐츠뱅크'의 콘텐츠 판매실적이 현재까지 단 4건, 2만6700달러(약 3천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윤종오(무소속) 의원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콘텐츠뱅크 사업이 본격 시작된 올해 초부터 현재까지 K콘텐츠뱅크를 통해 단 4건(5개 프로그램)의 계약을 체결돼 태국과 몽골로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방송수출액 4억 2천만달러의 0.006%에 불과한 규모다.

자료=윤종오 의원실

K콘텐츠뱅크는 미래부 주도로 만든 방송콘텐츠 온라인 기업 간(B2B) 유통 시스템이다. 국내 중소 방송사업자, 제작사, 1인 창작자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윤종오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약 16억원의 예산이 K콘텐츠뱅크에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윤종오 의원은 저조한 실적의 원인을 "K콘텐츠 뱅크에 볼만한 콘텐츠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MBC와 KBS는 K콘텐츠뱅크에 콘텐츠를 단 하나도 등록하지 않았고 tvN이나 JTBC같이 인기 콘텐츠를 제작하는 프로그램 공급자(PP)는 K콘텐츠뱅크에 계정조차 없다는 설명이다.

윤종오 의원은 “미래부가 볼만한 콘텐츠도 제대로 확보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K콘텐츠뱅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사업활성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