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 씨에 의해 미국 정부가 국민을 감시하고 있다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감시되고 있다”는 의식이 사람들로 하여금 무의식 중에 소수 의견을 주장할 수 없도록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웨인 주립 대학의 엘리바베스 스토에체프 교수는 감시 사회가 감시 대상에 가져다 주는 암시적 영향을 연구했다.
논문 학술지 저널리즘&매스 커뮤니케이션 쿼터럴리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 따르면, 정부 감시하에 있다고 인식한 상태의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이 소수인 경우 '자기 검열'을 거쳐 의견을 숨기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부터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로 친구에게 동조 받기 쉬운 정보를 게시하는 ‘에코 챔버 효과’가 알려져 있었다. 나아가 이번 웨인 주립 대학의 연구는 정부의 감시가 온라인 활동에 더욱 영향력을 발휘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 참가자들은 먼저 각자에 대한 심리적 프로파일을 작성했다. 자신의 정치적 신념, 성격 특성, 온라인 활동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또 임의의 샘플 그룹은 정부의 감시를 미묘하게 풍긴 뒤 IS(이슬람 국가)에 대한 미군의 공습 관련 가짜 뉴스를 보여주고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어떻게 생각할지를 물었다.
이 과정에서 스토이체프 교수는 “수많은 참가자들은 자신들은 법을 어긴 것도 없고 숨길 것도 없다”면서 “인터넷 검열을 신경 쓰고 있지 않다고 발언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실험 과정에서 참가자가 국가 안보를 위한 감시 사회에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고, 자신의 소수 의견을 자기 검열에 의해 묵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위축 효과를 보였고, 내면적인 자기 검열 시스템이 기본적 인권을 조종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것임이 입증됐다고 스토이체프 교수는 설명했다.
감시 사회가 자기 검열 시스템을 일으키는 것은 소수 집단에서 정당한 권리를 박탈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묵살된 의견은 토론 중 부상하지 않기 때문에 감시 사회의 영향을 방어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낳는다.
관련기사
- 에릭 슈미트 “더 나은 인터넷 위해 검열 필요”2016.03.30
- 남아프리카 뒤흔든 ‘최악의 인터넷 규제’2016.03.30
- "레진코믹스 차단은 '창조경제 코믹스'"2016.03.30
- 다음카카오, 감청논란 이후 영장청구 "확 줄었다"2016.03.30
스토이체프 교수는 “정부와 민간 기업에 의한 감시 기술의 채용은 자유롭고 개방된 인터넷 중립 플랫폼으로서의 능력을 좀 먹는다”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이번 연구에 대해 외부에서 자금을 받지 않았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