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주가 심혈관 질환 낮춰준다" 매커니즘 첫 규명

류성호 교수팀, 레스베라트롤 효능 입증

과학입력 :2016/03/10 12:00

국내 연구진이 포도주가 심혈과 질환을 낮추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포도주에 많은 레스베라트롤이라는 물질이 인체 내에 작동하는 방식을 알아내면서, 이 물질을 활용한 암, 대사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등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포스텍 류성호 교수 연구팀이 포도주가 심혈관 질환을 낮추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포두주 안에 많이 들어 있는 레스베라트롤라는 물질이 심혈관 질환을 낮추는 효과는 세포 내 자가소화작용(autophagy)을 통해 나타난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레스베라트롤에 의해 자가소화작용이 발생하는 세포 내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그간 레스베라트롤의 기대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예측이 어려웠다.

류성호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레스베라트롤에 의한 자가소화작용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 인산화 효소인 엠톨의 활성이 억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또 레스베라트롤 효과는 엠톨에 의존적인 암세포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레스베라트롤의 암세포 억제 효과는 엠톨을 통해 일어난다는 것을 증명했다.

관련기사

류성호 교수는 “포도 안의 레스베라트롤과 체내 엠톨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여러 암과 대사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등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했다”며 “질병치료제로서 레스베라트롤의 적용 범위를 넓히고 부작용까지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이 연구는 다학제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월 23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