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다단계, 구형 LG 폰 밀어내기”

전병헌 "다단계 판매원 약 300억원 바가지"

방송/통신입력 :2015/10/06 10:41    수정: 2015/10/07 09:04

LG유플러스가 이동통신 다단계 판매로 LG전자의 구형 스마트폰을 밀어내기 판매해 왔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6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전병헌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LG유플러스가 LG전자 구형 스마트폰을 밀어내기 식으로 판매한 정황이 파악됐다”며 “다단계 판매원들이 단말기 유통법 시행 이후 8개월간 약 300억원의 바가지를 쓴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가 다단계 판매방식을 통해 LG전자의 구형 단말기 판매를 지원하고, 특히 부당하게 높은 가격에 판매해 왔다는 점에서 파장이 클 전망이다.

사진은 LG전자 G3.(사진출처=LG전자 홈페이지)

이같은 주장은 지난달 방송통신위원회가 LG유플러스 다단계 판매 대리점 제재 당시 심결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심결 조사결과에 따르면, LG유플러스 다단계 대리점들은 LG전자 구형 스마트폰 G프로2, G3 등 2개 기종을 약 11만대 판매했다. 전체 판매량 가운데 61.8%에 달하는 양이다.

전병헌 의원은 “이통시장에서 LG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이 20% 수준이고 단말기 유통법 이후 더욱 축소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정도의 실적을 유지한 것은 판매 강요행위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LG전자의 G3는 국내 통신사들이 제공하는 LTE 최고 속도를 지원하지 못한다. 때문에 곧바로 G3캣식스가 출시됐다. 하지만 LG유플러스는 다단계 채널을 통해 G3 판매에 집중, 지난해 10월부터 5만815대를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G프로2는 LG유플러스가 경쟁사보다 공시지원금을 낮게 책정하고 다단계 채널에만 집중 유통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SK텔레콤이나 KT보다 218억원, 167억원의 추가이익을 발생시키면서 다단계 채널을 통해 밀어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전 의원은 “구형 비인기 단말기 밀어내기로 얻은 LG유플러스 다단계 대리점과 LG전자의 이익은 다단계 판매원에게 일방적으로 전가되고 있다”면서 “이같은 영업 행태 이면에 대해서 규제당국의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 의원은 “계열사 간 부당지원 등 다른 위법 사항에 대해서도 확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