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요금 횡령 또 재발, 개선안 마련돼야"

방송/통신입력 :2015/09/09 09:28

최근 5년간 우편요금 횡령액이 11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문제가 집중적으로 터져 나온 뒤 다시 똑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9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조해진 의원(새누리당)은 우정사업본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총 11건의 우편요금 횡령사건이 발생했으며 총 금액은 11억900만원이라고 밝혔다.

횡령액 1억원이 넘는 고액 횡령사건도 3건에 달한다. 2011년 6월 경인지방우정청 산하 부천 원종동 우편취급국에서 1억6천400만원, 2011년 7월 경인지방우정청 산하 인천남동공단센터 우편취급국에서 1억6천400만원, 2014년 4월에도 역시 경인지방우정청 남인천우체국에서 5억8천900만원의 횡령사건이 발생했다.

최근 5년간 우편요금 횡령 현황

우편취급국 직원이 우편요금을 현금으로 받고 우표를 첩부한 것처럼 전산을 등록하거나 타인의 신용카드를 도용하는 등 사례도 치밀하고 다양한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특히 횡령사건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2011년 말 ‘우편취급국 관리운영 강화방안’을 마련해 지도 점검을 강화하고 직원 채용시 신원조회 등을 실시했지만 요금 횡령 사건이 끊이지 않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조해진 의원은 “우정사업본부는 비리를 근본적으로 근절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직원들에 대한 청렴의식 교육을 강화하고, 업무의 특성상 사고개연성이 높은 분야에 대해서는 수시로 점검하고 체크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