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달 탐사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평가는 끝났고, 다음 주 중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최근 국내 17개 출연연과 함께 개최한 ‘한국형 달 탐사 출연연 융합연구 및 우주핵심기초연구 성과 발표회’ 자리에서 김대기 미래창조과학부 우주정책과장은 이같이 말했다. 지난 10일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2016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에 따르면 정부는 달 탐사업에 100억원 예산을 투자한다.
김 과장은 “정부에서 지난해 달 탐사 사업 예산을 확보했어야 했는데,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으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아쉽고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내년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았지만 예산을 확보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며, 결과는 다음 주 중에 나온다”고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항우연은 오는 2020년까지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한국형 발사체로 발사하는 목표를 가지고 지난해 410억원의 예산을 신청한 바 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예산안 제출 마감일보다 늦어지면서 미래부가 정부안에 넣지 못한 예산을 국회 상임위인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에 직접 요청하자 일명 ‘쪽지예산’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이러한 갈등으로 올해 예산은 한 푼도 반영되지 않았고, 정부의 달탐사 사업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출연연 관계자는 "예산을 없애거나 줄인다는 것은 당초 계획한 바를 연기하겠다는 것과 같은 의미"라며 "사업비와 인력 등 지원이 부족한데 시기만 맞추라고 하는 것은 연구진들에게도 부담"이라고 심정을 토로했다.
또한 달 탐사 사업은 예산이 많이 필요한 만큼 이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 이에 대해 황도순 항우연 박사는 “현재 왜 우리가 우주를 가야 하는지 의문이 들 수 있지만, 달 탐사를 목적으로 여러 기술 개발을 하면서 나타나는 연구 결과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가 된다”고 설명했다.
방효충 KAIST 교수는 “정부의 예산도 중요하지만 그 이상의 비전과 꿈을 봐야 한다”며 “과학은 모든 부분에 연결돼 있는데, 달 탐사에 대한 부분만 떼어내 이분법적으로 따로 얘기하다 보니 소모적인 논쟁이 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방 교수는 “과학은 국익과 관련돼 있다”며 “다음 세대에 이러한 과학기술과 유산을 물려줄 수 있으니 그런 맥락에서 달탐사를 봐 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항우연, 달탐사 융합연구 성과 발표2015.08.22
- 한국형 달탐사 사업 준비 ‘이상무’2015.08.22
- "더 작고 가볍게"… 한국형 달탐사 로버2015.08.22
- 달탐사 '로버' "정부예산 없이 연구비로 개발"2015.08.22
이우섭 KIST 박사는 “로봇기술의 성숙과 미래 후손들의 경제활동 영역을 위해서도 달탐사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항우연과 출연연은 2018년까지 미국 나사(NASA)와 협력을 통해 달 탐사 기술 검증을 위한 시험용 달 궤도선을 개발하고 운용해 우주 활동영역 확장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내년도 예산이 확보되면 NASA와 사업별로 MOU를 체결해 국제협력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