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신사업 발표일에 세무조사...감청불응 괘씸죄?

다음카카오 "아무말도 못해"...주가 곤두박질

인터넷입력 :2015/06/16 17:36    수정: 2015/06/16 18:28

모바일 신규 서비스로 본격적인 합병 시너지를 기대했던 다음카카오가 이번에는 난데없이 국세청 세무조사라는 악재를 만났다. 회사 측은 어떤 입장도 밝힐 수 없다면서 말을 아끼고 있지만, 신사업을 런칭하는 시점에서 갑작스럽게 세무조사를 당하면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이날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다음카카오 판교사무소에서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회사나 국세청은 말을 아끼는 상황이지만, 통상 특별 세무조사를 담당하는 국세청 조사4국이 직접 조사에 나섰다는 점에서 돌발적인 비정기 조사로 추정되고 있다.

비정기 조사의 경우 거래 내용이 사실과 다르거나 신고 내용에 세금 탈루 혐의가 있는 경우 조사가 시작된다. 업계에서는 국세청이 탈세, 계열사 부당 지원 등의 혐의로 다음카카오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석우 다음카카오 공동대표

세무당국은 비정기 조사 시 증거 인멸이나 조작을 막기 위해 사전 통지를 생략한다. 이번 조사의 경우 다음카카오 측에 사전 통지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국세청의 다음카카오 세무조사에 많은 조사 인력이 투입된 점을 감안, 굉장히 이례적인 일로 보고 있다. 여파는 주가에도 영향을 미쳐 오늘 다음카카오 주가는 상승세를 보이다 곤두박질 쳐 3.9%p 하락한 10만1천700원으로 마감됐다.

업계는 지난해 수사기관의 사이버 검열 논란이 뜨거웠을 당시 이석우 다음카카오 공동 대표가 감청 불응을 선언한 것이 이번 세무조사로 이어졌을 것이란 분석이다. 수사기관에 비협조적인 자세를 보여 결국 ‘미운털’이 박힌 것 아니겠냐는 해석이다.

다음카카오에 대한 표적, 보복 수사 의혹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말 대전지방경찰청은 이석우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아동 음란물 방치 혐의로 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그러자 야당을 비롯한 업계에서는 보복 수사 의혹을 제기했고, 수사기관의 소셜미디어 통제라고 반발한 바 있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다음카카오가 6월을 기점으로 합병 시너지를 위한 신규 서비스를 이제 막 터뜨리는 시점에 세무조사란 악재가 터진 상황”이라면서 “여러 정황과 시점상 지난해 감청 불응에 따른 보복, 표적 수사는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다음카카오 측은 “국세청 세무 조사와 관련한 어떠한 말도 할 수 없다”면서 극도로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