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재난망 총력…‘생존성·경제성·글로벌’ 자신감

송희경 KT 본부장 “국민기업 DNA로 승부”

일반입력 :2015/04/16 11:00

“과거 태풍 루사, 매미가 휩쓸고 갔을 때 유실된 통신망을 신속하게 복구하고, 개성공단 철수가 있었던 때는 최후의 7인 중 KT 직원 2명이 남아 통신 지원을 했다. 지난달 백령도에는 ROI가 나오지 않은 위성망을 구축키도 했다. KT는 성공적인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위한 국민기업으로써의 DNA를 갖고 있다.”

송희경 KT 공공고객본부장은 15일 KT 고양지사 종합시험센터에서 열린 재난안전통신망 시연회에서 KT가 경쟁사들과 달리 ‘생존성’, ‘경제성’, ‘운용능력’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차별화된 장점을 갖고 있다며, ‘국민기업 KT’가 재난망 사업을 수주해야 된다는 점을 이처럼 강조했다.

그는 “재난망은 극단의 재난 상황을 가정해야 하고 구호요원이 남아서 국민의 안전을 지켜야 하는 망의 생존 역량을 갖고 있다”며 “평상시에는 생존성이 크게 와 닿지 않는 부분이지만 재난 시에는 가장 큰 역량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KT는 유무선 망 설계, 보정, 라우팅 능력에서도 경쟁사들과 비교해 우수한 능력을 갖고 있다”며 “또 KT는 통신사 중 유일하게 마이크로웨이브, 위성망 등 3중 백업망을 보유하고 있다”고 차별성을 내세웠다.

실제, 이날 KT는 자사의 무선망 설계툴을 탑재한 차량을 이동시키며 전파 모델을 보정하는 시연을 선보이고, KT의 무선망 설계툴이 해외에 수출된 사례를 들며 우수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KT의 무선망 설계툴은 일본 교토지역의 모바일 와이맥스 설계, 중국 왕징 지역의 GSM망 최적화 작업, 아프리카 수단 지역의 무선망 설계 작업에 사용됐다.

또, KT가 보유한 이 같은 설계 자원은 67만km에 이르는 케이블 등 물리적 자원 등과 더해져 최단 시간에 음영지역 없이 최적의 망을 구축할 수 있어 경제성에도 탁월하다고 강조했다.

송 본부장은 “전파 모델 보정 기능을 활용할 경우 정확한 경로 손실을 예측할 수 있고 커버리지 예측을 통해 초기 투자비용 산출 정확도나 실측된 데이터 기반의 무선망 최적화를 할 수 있다”며 “이는 무선망 최적화 작업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어 제한된 예산 내에서 최적의 무선망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는 강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특히, 그는 재난망 사업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기 때문에 단순 구축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에 있어서도 경쟁력을 지녀야 한다면서, 국내 재난망 구축사례의 패키지를 만들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KT는 지난 3월부터 일산종합시험센터에 중소∙벤처기업과 재난안전분야 공동 연구를 위한 ‘재난안전 협력 테스트 랩’을 운영하면서 향후 해외진출에 대비하고 있다.송희경 본부장은 “재난망 사업은 1조9천억원이라는 막대한 국민 세금이 투여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이를 허투루 쓰지 않고 미래 먹거리 마련을 위한 생태계도 함께 구축해야 한다”며 “비표준은 독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고 표준을 따르지 않으면 중소기업들이 함께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KT는 표준을 기반으로 글로벌 생태계를 만들려고 하고 있고 KT 인프라 내에서 응용서비스가 돌아가는 그릇을 만들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KT는 망의 운용 측면에서도 지령의 운용이나 무인국사, 저전력 국사를 통해 24시간 1초도 놓치지 않고 관제하는 능력을 갖고 있고 이것이 KT가 갖고 있는 경쟁력 중 하나”라며 “42년간 기간망을 운영해오며 모든 재난을 예방하고 극복해온 KT가 재난망 구축사업에서 진정으로 국가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