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망 시범사업 강원 두 곳 분리발주

4~5월 중 사업공고 및 사업자 선정

일반입력 :2015/04/06 14:48    수정: 2015/04/06 15:00

정부가 강원도 평창과 강릉·정선 등 2개 지역에서 각각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하 재난망) 시범사업자를 선정한다. 강원도내 2개 권역에서 각각 ‘지역별 분리발주’ 형태로 사업자를 선정하고, 다양한 기술적 검증을 전개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시범사업자 선정을 위한 사업공고와 사업자 선정작업은 4~5월 중 실시할 계획이다.

국민안전처는 6일 서울중앙청사에서 비공개로 열린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사업’ 완료 보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참여자들에게 설명했다.

우선, 재난망 시범사업은 강원도 평창과 정선·강릉 등 2곳으로 나눠 지역별 분리발주로 진행될 예정이다. 각각의 지역에는 유선망을 포함한 기지국과 함께 스마트폰형·무전기형 단말기가 구축된다. 다만 통합적인 관제가 이뤄지는 제1센터는 평창지역에 구축된다.

기지국 수는 강릉시 82개, 평창군 55개, 정선군 68개 등 총 205개 이며, 단말기는 소방 468대, 경찰 607대, 해경 1천24대, 지방자치단체 397대 등 총 2천496대가 지원된다.시범사업에는 주제어시스템 299억원, 기지국 65억원, 단말기 38억원, 용역비 21억원, 지령시스템 및 중계기 1억원 등 총 424억원(부가세 43억원, 운영비 3억원 별도)이 소요된다. 주제어시스템 구축에 전체 예산의 70%가 배정돼 있어 평창 지역의 시범사업자가 사실상 시범사업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평창지역 사업자가 향후 본사업자 선정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국민안전처는 올 연말까지로 예정된 시범사업을 통해 사업자 독점방지와 다양한 기술 검증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조달청 발주 의뢰에 걸리는 물리적 시간 등을 감안하면, 시범사업자 선정은 국민안전처가 밝히고 있는 것처럼 5월 내 선정은 어려울 전망이다. 전문가들도 최종 시범사업자 선정은 6월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