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 '시동'

오는 5월 특수목적법인 설립…2017년까지 5580기 설치

일반입력 :2015/03/05 11:48    수정: 2015/03/05 13:57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전기차 보급과 충전사업 활성화를 위해 민간 주도의 충전시설 설치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산업부는 6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문재도 제2차관, 원희룡 제주도지사, 신규식 KT부사장 등 약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차 유료충전서비스 사업협력 협약 체결식을 갖는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에 기후변화 위기대응 '에너지 신산업 창출방안' (지난해 7월)과 범부처가 공동으로 마련한 '전기자동차 보급확대 및 시장 활성화 계획'(지난해 12월)의 일환으로 열린다.

국내 전기차 보급은 정부 재정에 의한 보조금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고 국내 충전소 부족으로 전기차 보급이 지연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민관 합동으로 시장시스템을 적용해 민간기업이 주유소와 같이 충전소를 구축하고 24시간 유료충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충전인프라 부족문제를 해소하는 계획을 진행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사업규모 등을 감안, 제주도를 전기차 충전 중점 지역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이 계획은 점차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주도는 전기차 보급 의지가 강하고, 1회 충전으로 섬 일주가 가능할 뿐만아니라 천혜의 경관을 보유한 세계적인 관광지로서 시범지역으로 적합하다고 밝혔다.

이번 전기차 유료충전서비스 참여기관으로 한국전력, KT, 현대차, 기아차, KDB자산금융 등이 선정됐다. 이들을 토대로 산업부는 올해 5월경 특수목적법인(SPC)를 설립해 ‘17년까지 322억 원을 투자해 5580기의 충전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또 정부충전서비스와 함께 콜센터와 통합운영시스템도 운영해 오는 2017년에는 제주도내 주유소와 비슷한 수준으로 충전시설을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사업의 성공을 위해 공공수요창출 협력, 배터리 대여(리스) 사업연계와 정비인력 양성 등 정책적인 지원을 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 사업은 민간 주도로 충전기를 확대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로, 이를 계기로 전국 어디서나 마음 놓고 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