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삼성·퀄컴, 'LTE+와이파이' 세계 첫선

이종망 병합 'LTE-H' MWC서 시연…600Mbps

일반입력 :2015/02/25 10:27    수정: 2015/02/25 11:02

KT, 삼성전자, 퀄컴이 LTE와 와이파이 등 이종 통신망을 병합한 LTE-H를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

KT(대표 황창규)가 MWC 2015에서 삼성전자, 퀄컴과 공동으로 이종 통신망인 LTE와 와이파이 병합 기술인 LTE 와이파이 링크 어그리에이션으로 다운링크 기준 초당 600메가비트(Mb)를 전송하는 기술을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LTE-H는 기존 LTE-A의 주파수 병합 기술인 CA처럼 여러 개의 주파수 밴드를 묶는 방식을 넘어 서로 다른 통신망을 하나의 전송 기술로 묶는 것.

이는 향후 5G 통신망으로 진화할 때 4G와 5G 망의 융합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600Mbps는 광대역 LTE 속도인 150Mbps와 기가와이파이 속도인 450Mbps를 더한 것으로, LTE-H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구현한 기존 LTE 와이파이간 병합 전송 방식과 달리 세계 최초로 LTE 기지국에서 직접 와이파이 접속을 제어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전송 효율을 보인다.

특히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과 와이파이 AP간 신호 수신감도를 감지해 자동으로 와이파이 접속 기능을 제어, 가입자는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향후 KT는 2016년 상반기 내에 전국 일부 지역에서 LTE-H 시범망을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 KT는 기존 LTE와 5GHz 주파수 대역의 와이파이간 병합(CA)이 가능한 LTE-U 기술도 선보인다.

KT는 삼성전자, 퀄컴과 공동으로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을 적용해 와이파이와 공존이 가능하면서도 기존 LTE와 주파수 병합이 가능한 LTE-U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KT가 보유한 기존 와이파이망을 활용하는 동시에 LTE 속도도 높이는 기술을 확보해 가입자들은 광대역 LTE 150Mbps와 와이파이 300Mbps가 합쳐져 가입자들은 최대 450M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이용할 수 있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은 “KT는 세계 1위 와이파이 사업자로서 삼성전자, 퀄컴과 함께 5G 진화에 핵심이 될 LTE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품질의 무선통신 속도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전재호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전무는 “LTE 망 내에서의 병합을 넘어 LTE와 서로 다른 통신망간의 병합기술을 통해 통신사업자들의 네트워크 운용 및 투자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삼성전자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기술을 지속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퀄컴의 제품담당 써지 윌레네거 부사장은 “2개의 다른 네크워크를 하나로 대용량 네트워크로 결합하는 이 기술을 통해 사업자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운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최상의 연결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