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고령자도 가전제품 이용 쉬워진다

일반입력 :2014/10/13 13:07

송주영 기자

장애인, 고령자들이 가전제품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규정한 ‘가전제품 여닫음 장치의 접근성에 관한 기준’이 국제표준화 기구(ISO)로부터 새로운 국제표준안으로 승인됐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다수의 중소·중견 가전업체가 함께 참여해 개발한 장애인 가전제품 국가표준(11월 고시예정)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해 승인됐다고 밝혔다.

가전제품 여닫음 장치의 접근성에 관한 기준은 향후 약 3년 동안에 걸쳐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독일, 일본 등의 전문가들이 모여 국제표준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표준안에는 삼성전자, LG전자, 동부대우전자, 동양매직, 코웨이, 쿠쿠전자, 리홈쿠첸, 오쿠 등 10개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표준안의 내용은 2008년 시행된 ‘장애인 차별 금지법’을 기반으로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가전제품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전제품 여닫음 장치(문·손잡이 등)의 접근성에 중점을 두고 기준을 제시했다.

가전제품 접근성은 장애인, 고령자가 비장애인과 같이 가전제품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같은 접근성 보장을 위해 가전제품의 설계요건을 법령이나 표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가전제품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장애인과 고령자 수는 약 798만명(2010년 기준, 총인구대비 16.7%)에 달하며 장애용품 국내 시장규모는 약 727억원(2009년 기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기사

국표원은 장애인과 고령자 등 소외계층이 겪는 불편 해소를 위해 지난 2012년부터 국내 주요 가전업계, 소비자단체, 장애인단체 등이 참여한 표준기술위원회를 구성해 ‘가전제품 접근성’의 표준화에 힘을 쏟아왔다.

장애인, 고령자 전용 제품의 세계시장 규모는 592억달러(2011년 기준)에 달한다.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가전제품 접근성에 관한 제도가 확산되고 있으며향후 무역기술장벽으로 제도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