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발표…융·복합 모색

일반입력 :2014/07/25 11:17

이재운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역삼동 한국기술센터에서 범부처 로봇산업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제2차 중기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제5조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지난 2009년부터 매 5년바다 수립된다.

1차 계획안이 주로 법이나 기관 등 인프라 조성과 제품개발, 보급 중심이었다면 오는 2018년까지 진행될 2차 계획안은 로봇기술 발전과 주력산업 융복합 추세에 따른 다른 제조, 서비스 분야로 ‘로봇산업 외연 확대’에 중점을 맞췄다.

이 기간 동안 정부는 민·관 합동으로 2조6천억원(정부·지자체 1조4천억원, 민간 1조2천억원)을 투자해 ▲로봇 연구개발(R&D) 종합역량 재고 ▲로봇수요의 전 산업 확대 ▲개방형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 ▲로봇융합네트워크 구축 등 4대 과제를 추진해 글로벌 선도 역량 확보를 위한 로봇 R&D 체질 개선과 국내외 새로운 수요와 시장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대비 오는 2018년 국내 로봇 시장 규모를 2조2천억원에서 7조원으로, 수출은 7천400억원에서 2조5천억원으로, 로봇기업수는 402개에서 600개로, 기업당 로봇 분야 평균 매출액은 60억원에서 117억원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관련기사

특히 재난대응로봇과 로봇헬스타운 등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전문 서비스용 로봇 분야 ‘글로벌 선도형 대형 R&D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수요기획 전담조직 신설, 연구개발 인력 풀 확대 등 로봇 R&D 전 주기를 혁신하고, 미국 로봇공학챌린지(DRC)식 경진대회형 R&D 프로젝트 신설한다. 또 로봇부품, 소프트웨어, 서비스 분야 R&D 투자도 강화한다.

다른 한편으로 로봇기술이 다른 제조·서비스분야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제조, 자동차, 의료/재활, 문화, 국방, 교육, 해양 등 7대 로봇융합 비즈니스 전략 로드맵을 수립해 로봇보급사업을 확대 실시하고 글로벌 협력을 강화한다. 또 일본 소프트뱅크처럼 국내 통신·포털·물류 기업 등도 로봇산업에 전략적으로 참여해 개방형 로봇 생태계를 조성해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