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이사회 길환영 해임안 오늘 결정

일반입력 :2014/05/28 11:43    수정: 2014/05/28 14:26

28일 오후에 열리는 KBS 이사회에 길환영 사장의 해임제청안이 상정돼 향후 그의 행보가 주목된다. 실제, 해임 여부는 대통령의 권한이지만 이사회에서 해임제청안이 가결될 경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길 사장이 그동안 KBS 내외부의 퇴진 요구에도 사퇴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해왔다.

KBS 사회는 지난 26일 임시회의를 열어 야당 측 이사 4인이 길환영 사장 해임제청안을 정식 안건으로 상정했다. 일단, 이사회가 여야 7대 4 구조라는 점 때문에 가결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KBS 안팎의 여론이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그간 KBS이사회는 수신료 인상안 추진 등 여당측 의견이 주로 반영·운영돼 왔지만, 해임제청안 상정을 막지는 않았다. 또 실제 6인 이상의 과반 투표에 여당 이사의 뜻도 반대만 일삼지 않을 것이란 분위기다.

현재 기자들의 제작 거부로 공영방송의 보도 파행이 KBS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확산될 지 여부도 주목거리다.

지난 23일 KBS 새노조(전국언론노동조합 KBS 본부)에 이어 27일 KBS 1노조까지 길환영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고 나선 상태다. KBS 양대노조는 각각 94%, 83.1%의 찬성률로 길환영 사장이 퇴임하지 않을 경우 총파업에 나선다는 예정이다.

노조와 함께 국장단, 부장단 등 간부급들도 길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보직 사퇴가 잇따르고 있다.

KBS 내부 뿐만이 아니라 외부에서도 길환영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방송학회 소속 방송학자 200여명은 공영방송의 정상화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25일 발표했다. 여러 시민단체들도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회와 정부 기관마저도 길환영 사장과 KBS 이사회의 행보를 지켜보고 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는 26일 지방선거 기간중에도 국회 상임위 가운데 유일하게 임시회를 열어 KBS 사태와 세월호 참사 보도와 관련해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현안 질의를 통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여당 의원인 이상일 의원까지 나서 길환영 사장 체제에서 공영방송 KBS는 사망선고를 받았다고 지적하면서 수신료 인상안 처리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방송정책 관련 주무부처인 방통위는 3주 전부터 KBS 사태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야당 추천 위원인 김재홍 상임위원은 긴급현안으로 방통위가 KBS 사태에 눈을 감고 있을 수 없다고 주장, 지난 22일 공식 안건으로 KBS 논의를 올려뒀다.

관련기사

방통위는 일단 KBS이사회의 결정을 보고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KBS 사태를 간과할 수는 없지만, 정부기관이 언론사 사정에 직접 개입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여야 위원들의 뜻이 모인 결과다.

KBS 한 관계자는 “길 사장이 일간지에 광고까지 내면서 버티고 있지만 분위기는 더욱 좋지 않게 돌아가고 있다”며 “정치권에서도 지방선거와 민감하게 맞물린 문제라 문제 해결 실마리를 쉽게 찾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