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교통사고 비유 발언, 방통위 회의서 뭇매

일반입력 :2014/05/09 11:28

세월호 사고를 교통사고와 비교했다는 KBS 보도국장의 발언이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전체회의에서 거론됐다.

재난방송 주관방송사 역할을 맡고 있는 공영방송 KBS의 보도 책임자가 해서는 안 될 말이라며, 방통위가 방송을 주관하는 정부 부처로서 재발 방지를 위한 책임있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와 함께 관련한 발언의 사실관계를 명확히 확인하는게 우선 과제고, 방통위가 가진 권한과 한계를 파악한 뒤 KBS를 상대로 한 조사나 책임소지를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섰다.

앞서 미디어오늘 보도에 따르면 KBS 보도국장은 “세월호 사고는 300명이 한꺼번에 죽어서 많아 보이지만, 연간 교통사고로 죽는 사람 수를 생각하면 그리 많은 건 아니다”고 말해, 피해자 유족들이 영정 사진을 들고 여의도 KBS 본사에 항의 방문했다.

김재홍 방통위 상임위원은 9일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14차 전체회의의 안건 상정에 앞서 “KBS 보도 내용과 한 간부의 실언이 어떻게 문제가 됐길래 재난 피해자 유족들이 청와대를 찾아가는 상황이 됐냐”며 “방통위가 어떤 형식이든지 정책권과 규제권을 활용해 관여해야 할 사안”이라고 긴급사안으로 다룰 것을 요구했다.최성준 위원장은 이에 대해 “일부 언론에 보도된 내용에 대해 KBS는 관련 발언을 부정하면서 나름대로 해명하고 있다”며 “그런 상황 속에서 방통위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발언의 사실 관계를 확인해야 하고 방통위가 권고를 전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최 위원장은 “검토할 것을 살펴본 뒤에 경우에 따라 긴급회의를 소집해 논의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김재홍 위원은 “위원장이 최근 방송사 사장들을 만나서 재난 보도를 할 때 피해자 상처를 더 아프게 하지 말자고 하셨다”며 “피해자 유족들이 왜 격분했는지 파악해야 하고 방통위가 뭘 주문하지 않더라도 (현 상황에 대해) 보고를 받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허원제 부위원장은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보도국장 발언 내용이 사실이라면 대단히 잘못된 것”이라면서 “재난방송협의회가 구성돼있고 협의회를 통해 뜻을 교환하고 사실 여부 의견을 청취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이 문제는 KBS 수신료 인상안 상정까지 번졌다. 김재홍 위원은 “2기 방통위가 국회에 의견서를 전달할 때 보도 공정성과 제작 자율성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를 첨부했다”며 “당장 보도 공정성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데 KBS 수신료 인상이 적절한지 사회적 합의를 다시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KBS 보도국장은 언론보도 내용과 관련해 직접 해명하겠다며 이날 기자회견을 연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