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차에 무선으로 “비켜요”…상용화 임박

미 정부 V2V 적극 도입, 에어백 이후 최대 진화

일반입력 :2014/02/04 09:18    수정: 2014/02/04 09:48

이재운 기자

도로에서 차량 운전자들이 무선으로 소통하는 시대가 임박했다. 미국 정부가 ‘차량간 무선통신(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기술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3일(현지시간) 미국 교통부 산하 국가고속도로안전국(NHTSA)은 V2V 통신기술을 도로상에서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앤서니 폭스 교통장관은 성명을 통해 “안전벨트와 에어백을 통해 이뤄낸 안전을 V2V가 진화시킬 수 있다”며 “이 기술은 미국이 세계 자동차 산업의 리더 자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사람들의 운전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대 이상의 차량 간 통신이 가능한 이 기술을 적용하면 운전자는 근처의 다른 차량 운전자에게 교통상황에 대한 각종 메시지를 제공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자의 속도나 위치 등의 운행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추돌을 피하고, 차선을 바꾸고, 교차로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미 교통부는 지난 2012년 8월부터 약 3천대의 차량에 이를 적용, 실제 도로에서 시험을 거쳤다. 조만간 분석을 마치고 관련 조항과 규제 등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관련 업계는 V2V 기술로 음주운전이나 기계 이상 등을 제외한 교통사고 중 약 80% 가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예상되는 자동차 생산 추가 비용은 대당 100~200달러 정도다.

데이비드 프리드먼 NHTSA 국장대행은 “수십년 뒤에 과거를 돌아보면서 지금을 교통안전 역사의 중대한 시점으로 여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