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5호 특징은?

일반입력 :2013/08/23 00:20    수정: 2013/08/23 08:53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목적실용위성 5호(아리랑 5호)가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22일 오후 8시39분(한국 시간 22일 오후 11시39분) 러시아 드네프르 발사체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궤도 안착 및 정상 작동 여부는 23일 새벽 6시 30분경 확인 가능하다.

아리랑 5호는 합성영상레이더(SAR)를 탑재해 전천후 관측이 가능한 점이 주요 특징이다.

기존 다목적실용위성 2, 3호는 가시광선을 사용해 햇빛이 없는 밤이거나 구름이 끼면 지상을 관측하지 못한다. 반면 SAR은 가시광선이 아닌 마이크로파를 사용한다. 마이크로파는 가시광선보다 투과율이 좋아 구름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리랑 5호가 본격 운영되면,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하루 두 번 낮과 밤에 한번씩 한반도를 관측하게 된다. 즉 우리나라는 기존의 다목적실용위성 2, 3호와 더불어 하루 네 번 한반도를 관찰하는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상률 항우연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은 “향후 4개월에 걸쳐 다목적실용위성 5호의 보정 작업을 마무리하면 최고 1미터 해상도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며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해양 유류사고, 화산 폭발 같은 재난 감시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 등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2천381억원의 개발 비용이 투입된 아리랑 5호는 당초 2011년 8월 발사 예정이었으나, 발사가 2년간 중지됐다.

항우연은 “군사 기지였던 야스니 발사장이 민간사업을 병행하면서 러시아 내부의 갈등 상황이 있었다”며 “2년간 다목적실용위성 5호의 부품을 상세하게 점검해 기능 수행에 문제가 없도록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