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암기 NO…SKT 스마트평가시스템 개발

일반입력 :2013/06/20 09:39

정윤희 기자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벤처기업 엔에스데블(NSDevil, 대표 이언주)과 손잡고 스마트기기 활용 평가시스템(UBT)을 개발하고 의료교육 분야 상용화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UBT는 기존대비 약 40% 가량 비용을 절감시키고 보안성을 높였다. 기존 컴퓨터화 시험방식 CBT, IBT 대비 자유로운 공간 활용으로 시설투자와 운영비를 절감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종이시험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소리나 영상, 터치 등 센서를 활용한 시험문제 출제가 가능해졌다. 예컨대 환자의 심장박동 소리를 들려주고 상태를 맞추는 식이다.

SK텔레콤의 UBT는 ▲특수 기기를 활용해 폐쇄된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부정행위가 의심될 시 감독관의 태블릿에 해당사항을 알려주는 솔루션을 탑재했다. 아울러 ▲해독값이 포함된 추가 데이터를 받아야 정상적으로 문제를 볼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해 보안성 확보에도 신경을 썼다.

SK텔레콤은 지난 8일 UBT 임상종합모의평가를 치렀다. 평가는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90여명의 대학교수진이 UBT에 맞게 출제한 시험문제를 활용, 부산, 경남 5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 1천여명을 대상으로 태블릿PC을 통해 진행됐다.

관련기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 이종태 교수는 “기존의 지필평가는 단순 암기식의 병명과 원인, 대처방법을 외우기만 하면 됐지만, UBT 방식의 시험이 적극적으로 도입되면 사례중심의 학습이 중요하게 될 것”이라며 “익힌 지식과 진료 현실간 괴리를 좁혀주고 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통해 의료사고를 낮추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철순 SK텔레콤 컨버전스사업본부장은 “UBT 시스템의 국내 개발은 벤처기업의 기술력과 대기업의 노하우가 모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현재 미국 기업이 지배적인 약 11조 규모의 글로벌 컴퓨터화 시험 시장에 우리의 평가시스템이 순조롭게 진입 할 수 있도록 힘을 합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