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박스원 중고 게임 정책, “게임사가 결정”

일반입력 :2013/06/10 09:36    수정: 2013/06/10 09:40

마이크로스프트(MS)가 X박스 원에 대한 중고 게임 정책 결정을 각 게임사에게 넘긴다고 밝힌 가운데, 해외 대표 게임사는 아직 밝힐 내용이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전했다.

앞서 MS는 중고 게임을 구매하거나 친구에게 게임을 빌리더라도 새로운 게임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비용이 발생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중고 게임 정책은 기존 시장 흐름을 역행한 것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었다.

10일 게임스팟닷컴 등 해외 주요 외신은 MS가 “새 X박스 원 사용자들이 업체에게 게임을 팔거나 친구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게임업체로부터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MS는 “소비자들이 중고의 게임을 거래하거나 친구들에게 대여할 수 있는 부분은 게임사들이 결정하게 된다”면서 “X박스 원 게임기를 구매한 사용자들은 게임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24시간에 한 번씩은 웹 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게임기가 제공하는 디지털 도서관 접촉은 인터넷 접촉이 요구된다”면서 “그러나 TV를 비롯해 블루레이와 DVD 영화 등의 콘텐츠는 인터넷 연결 없이 이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MS가 처음 밝혔던 X박스 원의 중고 게임 정책과 달라진 내용이다. 중고 게임 관련 논란이 일자 한발 물러선 것. 일각은 중고 게임 정책 이슈를 각 게임사에게 떠넘기면서 비난의 화살을 피하려는 꼼수로도 해석했다.

그렇다면 각 해외 게임사의 반응은 어떨까. MS의 중고 게임 정책에 대한 바통을 넘겨받은 해외 주요 게임사는 아직 밝힐 만한 내용은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대부분 자세한 정보를 전달받지 못했다는 것이 이유였지만, 분위기를 좀 더 지켜보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미국 투자은행 웨드부시 시큐리티즈(Wedbush Securities)의 애널리스트 마이클 패처(Michael Pachter)는 각 게임사가 중고 게임을 차단하거나 별도 수수료 등의 비용을 요구하는 정책은 추진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마이클 패처는 “(중고 게임에 별도 수수료를 요구하면)각 게임사는 이용자의 강한 반발에 부딪칠 것”이라며 “결과에 따라 일부 게임 이용자들이 게임 구매 보이콧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각 게임사의 신작 게임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더불어 MS의 X박스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와 게임 타이틀은 E3 2013 행사 기간 소개될 예정이다. E3 2013은 오는 11일(현지시간)부터 13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