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 전자정부 상반기 발주...춘궁기 풀리나

일반입력 :2013/05/13 11:17    수정: 2013/05/13 13:30

송주영 기자

올해 예정된 22개 전자정부 프로젝트가 상반기 내 모두 발주될 전망이다. 안전행정부, 정보화진흥원(NIA) 등은 중소기업 육성 차원에서 가능한 프로젝트 발주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

사업자 선정 시기 등을 감안하면 이르면 6월부터는 공공IT 시장에 자금이 풀릴 전망이다. 더불어 안행부는 추경예산을 통해 올해 22개 사업 외에 5개 전자정부 프로젝트를 추가로 발주하기로 했다.

13일 안행부에 따르면 전자정부 프로젝트는 이달 초까지 총 22개 사업 중 18개 사업이 발주됐다. 나머지 4개 사업도 다음달 이내에는 모두 발주한다.

안전행정부 전자정부지원과 김동석 과장은 “사업과제, 추진일정 등 발주처 상황과 함께 중소기업 활성화 등도 고려했다”며 “사업이 준비가 되면 지체 없이 프로젝트를 발주한다”고 설명했다.

안행부는 전자정부 사업에 올해 총 600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600억 규모의 공공IT 자금이 이르면 6월부터 집행될 예정이다.

정부의 공공IT 자금 집행이 이뤄지면서 연초 정부 조직개편으로 한파를 맞았던 이 시작도 봄을 맞아 개화할 것으로 보인다.

안행부의 프로젝트 발주로 공공IT 시장에서 나왔던 프로젝트 가뭄 현상은 해갈될 전망이다. 지난 1분기 공공IT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은 프로젝트가 없어 인력 대기 상태로 3개월을 보내야 했다는 불만을 터뜨렸다.

정부 조직개편이 늦어지면서 사업 설명회부터 착수, 발주 일정 등이 예상과는 3월까지는 대기 상태였다. 소프트웨어진흥법 개정안으로 대기업의 빈자리를 노리던 중소기업 IT 업체들은 오히려 연초 보릿고개를 넘겨야 했다고 강조한다.

최근에는 전자정부 프로젝트 등 공공사업이 쏟아지면서 행복한 비명이 나온다. 한 중소기업 공공IT 사업 담당 관계자는 “최근 들어서는 정신없이 바쁜 일정을 보낸다”며 “공공사업이 최근 많이 나왔다”고 말해다.

관련기사

정부는 사업 발주 일정을 서두르는 것과 함께 공공IT 사업 확대를 위해 추경예산으로 전자정부 사업을 추가로 편성했다. 5개 전자정부 사업이 올해 추가될 예정다. 추가하는 상버은 영상회의, 행정협업시스템, 맞춤형 서비스, 생활안전지도, 원문정보 서비스 등이다.

안행부 관계자는 “추경예산의 목적은 경기부양, 일자리 창출 등”이라며 “ICT 분야는 평균보다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업종으로 고급인력 채용 확대 차원에서 사업을 늘리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