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기 교통카드사업...LG CNS 논란

일반입력 :2013/05/09 08:53    수정: 2013/05/09 08:55

송주영 기자

한국스마트카드가 추진하는 서울시 2기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사업이 다시 한 번 논란이다. 1기 시스템 구축, 유지보수 사업을 맡았던 LG CNS에 특혜라는 지적과 함께 해당분야 전문성이 인정돼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IT서비스 대형 3사 중 유일하게 통합정산, 카드, 단말기 운영관리 등의 사업에 모두 입찰제안서를 제출했다. 이중 카드시스템은 LG CNS만 입찰제안서를 제출했다. 삼성SDS, SK C&C 등은 3개 사업 모두에 입찰을 포기했다.

LG CNS는 통합정산 사업에서 KT컨소시엄과 경쟁한다. 단말기 운영관리 사업은 한국스마트카드 3대 주주인 에이텍정보통신이 제안했다.

■LG CNS 3개사업 모두 입찰

2기 교통카드 사업은 478억원 규모로 비교적 대형 사업에 속한다. 지난달 한국스마트카드의 2기 교통카드 시스템 구축 제안설명회에서의 관심 역시 높았다. 자리가 비좁을 정도로 꽉 들어찼고 질문도 활발하게 나왔다.

하지만 제안서 접수 뚜껑을 열어본 결과는 2개 제안사 경합으로 설명회 당시의 열기와 비교해서는 시시했다.

LG CNS가 전 분야에 입찰제안서를 제출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여타 업체는 한 개 사업 정도에만 제안했거나 아예 제안을 포기하는 등 소극적이다.

관련업계는 예상 외로 참여가 저조했던 이유에 대해 “1기 교통카드 시스템 구축 사업자인 LG CNS에게 유리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라는 해석을 내놓는다.

■LG CNS 몰아주기 문제 제기 지속

LG CNS와 서울시 교통카드사업을 담당하는 한국스마트카드의 관계에 대해서는 지난 수년간 논란이 돼왔다. LG CNS가 1기 시스템 구축 사업자에 운영, 유지보수 업무까지 맡으며 ‘몰아주기’라는 지적이 나왔다. LG CNS는 서울시 교통카드시스템 사업자인 한국스마트카드의 2대 주주다.

시민단체는 LG CNS 밀어주기에 대한 문제점을 끊임없이 지적했다. 결국 지난달 서울시는 LG CNS 지분 비중을 낮추고 교통카드 사업을 한국스마트카드 이외의 사업자들이 할 수 있는 경쟁체제로 전환하겠다는 내용의 대책을 내놨다.

서울시는 대책 외에에도 한국스마트카드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다. LG CNS에 대한 용역비 과다 선정 등 불공정거래 행위가 있었는가에 대한 내용이다. 서울시는 한국스마트카드의 1대 주주다.

LG CNS는 서울시 교통카드 사업에 대해 나왔던 밀어주기 논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고객사와 관련된 내용으로 조심스럽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특혜로만 봐야할까? 반론도...

그동안 서울시 교통카드 2기 사업이 LG CNS에게 유리하게 전개되다는 논란은 지속돼 왔다. 반면 IT서비스 업계 일각에서는 한국스마트카드, LG CNS를 옹호하는 내용의 반론도 있다. 특혜 논란은 IT서비스 산업에 대한 몰이해에서 나온다는 주장이다.

한 IT서비스 업계 관계자는 “LG CNS와 한국스마트카드의 관계에 대해서는 단순한 일감 몰아주기로만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한다.

IT서비스 사업은 업무에 대한 이해가 높아야 한다. 업무 이해가 높은 선행 사업자가 후속 사업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세금 관련 IT시스템 구축은 A업체, 법 관련 구축은 B업체가 노하우를 쌓으며 유리해진다는 설명이다.

한 발주업체 관계자는 “과거 사업자 다각화를 위해 A업체가 수행한 사업의 후속 프로젝트를 B, C업체에게 줬지만 사업이 지연되거나 중도에 포기하고 나간 경우도 있어 A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고 말한다.

최근 공공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중소 IT서비스 업체가 “저가라도 우선 수주부터 하겠다”고 말하는 이유도 IT서비스 업계의 업무 노하우 확보가 이후 사업에 대해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는 열쇠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구축사례, 선행사업자. IT시스템 개발 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평가되는 항목이다.

한국스마트카드, LG CNS의 관계도 단순히 일감 몰아주기로만 판단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주장이다. LG CNS는 지난 10년 동안 서울시 스마트카드 IT운영업무를 하며 쌓은 노하우가 있다.

관련기사

서울시, 한국스마트카드는 사업자 선정에 대해서는 공정하게 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7일 열렸던 통합정산시스템 제안설명회 평가 결과는 내용을 봉인했다. 오는 10일 우선협상자 발표 때까지 내부에서도 공유하지 않을 계획이다.

유찰된 카드시스템 구축은 지난 6일 재공고를 통해 이달 말 우선협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