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적 편향성이 적은 중도층이 보수층이나 진보층에 비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정책 참여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폰 등 모바일 SNS 이용자가 데스크톱PC 기반의 SNS 이용자보다 정책 참여도가 높았다.
2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스마트미디어시대의 SNS 이용과 정책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 발간을 통해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KISDI가 SNS 사용자 1천명(데스크톱 SNS 사용자 340명, 모바일 SNS 사용자 6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이념 성향이 중도인 응답자 중 50.2%가 SNS를 통한 정책참여 빈도에 대해 ‘1년에 1회 미만’이라고 답했다. 스스로 이념 성향을 ‘진보’나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의 경우 이런 소극적 태도를 보인 비율은 각각 33.1%와 41.6%에 불과했다.
SNS를 통한 정책참여에 적극적(2∼3개월에 1회 이상)인 태도를 보인 응답은 중도 20.0%, 진보 27.3%, 보수 24.8%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정치적 무관심과 불신층이 주류를 형성하는 중도층의 경우 정치·행정 기관에 대한 신뢰의 부족으로 SNS를 통한 정책 참여에 소극적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SNS를 통한 정책 참여 빈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고연령대가 저연령대보다 더 높았다. ‘2∼3개월에 1회 이상’이라는 대답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26.2%, 23.4%였다. 또 SNS를 통한 정책 참여에 소극적인 응답을 한 비율은 20대에서 47.7%로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 KISDI, 미래부 위상·역할 정립 토론회 개최2013.02.20
- KISDI, 우즈벡에 ‘ICT전략 자문관’ 파견2013.02.20
- KISDI, 내달 3일 ‘인터넷과 ICT 생태계’ 컨퍼런스2013.02.20
- “인터넷, 통신·미디어 흡수…법·제도 바뀌어야”2013.02.20
정책 참여에 주로 사용하는 SNS(복수 응답)로는 페이스북(49.3%)이 꼽혔다. 페이스북을 비롯해 트위터(37.9%), 카카오톡(24.5%) 같은 단문 중심의 서비스가 장문 중심인 블로그(18.7%)보다 앞섰다. SNS 사용자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인 정책이슈는 경제·소비생활(64.2%) 분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SNS를 통한 시민들의 정책 참여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확충 ▲온라인 소통위원회 등 정책 커뮤니케이션 전담 조직 설치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정책공론장 플랫폼 구축 ▲다양한 커뮤니티와 정책 소통을 하기 위한 소셜브릿지 시스템 운영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