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빛의 굴절을 조절해 물체를 숨길 수 있는 투명망토를 개발했다. 공상과학영화(SF영화) 속에 등장하는 투명망토가 현실화된 셈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6일 김경식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투명망토의 재료가 되는 스마트 메타물질을 자체 제작, 모양을 변형시켜도 신축성을 유지하는 투명망토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마트 메타물질은 자연에서는 얻을 수 없는 인공물질이다. 외부 자극에도 계속 기능을 유지하도록 빛의 꺾임을 스스로 조절한다. 연구에는 지난 2006년 메타물질을 처음 개발한 데이비드 스미스 미국 듀크대 교수가 함께 참여했다.
투명망토를 만들려면 물체에 부딪힌 빛이 반사되거나 흡수되지 않고 뒤로 돌아가게 만들면 된다. 빛이 뒤돌아가게 하려면 인위적인 일정한 굴절률이 필요한데 지난 2006년 개발된 메타물질이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관련기사
- 투명디스플레이 특허…역시 삼성·LG2012.11.26
- 삼성電, 내달 정사각형-투명 디스플레이 출시2012.11.26
- 연내 투명인간 망토 나온다2012.11.26
- 월드 랠리서 만난 현대차 vs 토요타…"여기선 빠른 제조사가 1위"2024.11.22
김 교수팀은 압축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튜브 구조를 이용해 빛의 굴절뿐만 아니라 신축성을 동시에 가져 변형, 압축해도 계속 투명망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접거나 변형하면 투명망토의 기능을 잃게 됐었다.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투명망토는 지금까지 기술과 달리 압축, 변형의 역학적 성질과 빛 굴절의 광학적 성질을 동시에 가진다”며 “기계공학과 광학의 융합연구가 활발히 이뤄지면 탄성변형을 이용한 큰 면적의 투명망토 제작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