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KT “DCS, 아이폰 때와 같다”

일반입력 :2012/09/11 12:25    수정: 2012/09/11 14:30

정윤희 기자

이석채 KT 회장이 방송통신위원회의 ‘접시 없는 위성방송’ DCS 불법결정에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 아이폰의 국내 도입에 빗대 DCS가 혁신적인 서비스임에도 규제에 막혀 제대로 서비스할 수 없다는 주장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이 회장은 11일 ICT 대연합 출범식에서 만난 기자들이 “방통위가 DCS가 컨버전스 서비스가 아니라는 결정을 내렸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질문하자 “아이폰이 왜 못 들어왔는지 아십니까”라고 되물었다. 그는 이어진 “규제 때문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지난 2009년 아이폰 도입 당시 외산 스마트폰은 국산 모바일 플랫폼 ‘위피’를 탑재하지 않은 점 때문에 국내 유통이 어려웠었다. 이 회장은 이를 상기시키며 과도한 규제가 DCS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앞서 방통위는 지난달 29일 KT스카이라이프의 DCS가 위법이라는 판단을 내리고 신규 가입자 모집을 중단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KT스카이라이프는 “DCS는 컨버전스 서비스로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반발하며 가입자 모집을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당시 이 회장은 “새마을호가 있다고 해서 KTX를 깔지 않는 것은 아니다”며 DCS 위법 결정에 대해 반발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