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클라우드 인프라의 방향…네트워크+OS

백승주입력 :2012/07/18 09:57

백승주
백승주

필자가 몸담고 있는 회사는 몇 년을 주기로 새로운 운영체제와 관련 기술들을 만들고 이에 대한 활동을 하고 있다. 담당된 업무에서도 많이 느끼는 편이지만 새로운 기술이 나오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어떤 방향으로 시장이 흘러가고 있고,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다시 비즈니스로 돌아올지를 한번쯤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곤 한다.

그동안 칼럼을 통해 주로 전달했던 내용은 IT 엔지니어의 삶과 여러 기술과의 관계이다. 2012년 현재, 여전히 IT에서는 2가지 정도의 키워드가 핵심이다. 하나는 서비스를 대표하는 이름인 ‘클라우드‘이며, 다른 하나는 이에 대한 클라이언트를 대표하는 이름인 ’디바이스‘이다.

클라우드라는 단어는 이제 IT에서 하나의 인프라로서 자리 잡혀 가고 있다. 단순히 기계적인 입장에서만 다가가던 인프라라는 단어가, 이제는 서비스라는 단어와 함께 접근 방식이 조금은 틀려져 가고 있다. 또 이에 대한 기술 기반도 기술이라는 단어는 동일하지만 접근 방식이 달라지는 것을 느낀다. 지금까지는 서버 몇 대라고 칭하던 인프라가 어떠한 서비스를 구성한다는 이야기로 조금씩 바뀌어 가고 있는 것도 이에 해당되며, 이 서비스가 몇대로 운영되느냐는 것보다는 장애 없이 얼마나 잘 동작하느냐를 고민하는 것도 여기에 해당된다.

■가상화 제외하고 클라우드 논할 수 없다

이번에 논하고자 하는 부분은 바로 인프라의 구성과 이에 대한 역할이다.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여러 기술 중 하나는 가상화(Virtualization)이다. 가상화는 물리적인 기계, 서버를 잘 나눠서 쓰게 해주는 기술이다. 서버 통합이라는 이름 하에 여러 서버에서 나눠져 운영되던 서비스들을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 합쳐놓기, 즉 이를 운영 및 관리 효율성 그리고 비용 절감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다. 2012년 가상화와 다양한 IT 기술이 합쳐져 클라우드라는 이름으로 제공되는 모습에서 이 가상화 기술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 더욱 진화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쉽게 말하면, 몇 년 전 가상화는 우리가 운영체제 입장에서만 접근한 경향이 많다. 여러 대의 서버를 합친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나눠져 있는 운영체제를 가상화 인프라 내에 합치는 것과 같은 의미였다. 가상화 프로젝트를 해본 엔지니어라면 느끼는 것이지만, 단순히 합친다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바로 운영체제 하위 영역에서 이야기되는 분야이다.

A라는 가상 머신과 B라는 가상 머신이 하나의 서버에서 운영된다고 가정하자. 두 가상 머신의 소유 주체가 같은 사람이나 같은 부서라면 크게 상관이 없지만, 반대의 경우라면 몇 가지 걱정거리가 있다. A와 B가 완벽하게 분리되어져 있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시장에 등장한 단어가 바로 멀티 테넌트(Multi-Tenant)이다. 멀티 테넌트는 말 그대로 다수의 입주자 컨셉트이다. 아파트를 떠올려보자, 옆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우리 집으로 넘어오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며, 타 동으로 인해 일조권이 문제가 발생한다면 어떨까? 동일한 일상의 문제점이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도 생기는 것이다.

이에 대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이 상호 접근 공유 문제이다. 클라우드는 논리적으로 자원을 공유하는 모델을 정의하고 있기에, A와 B 사이에, 사용하는 네트워크나 하드웨어가 물리적으로는 같을 수 있다. 그렇지만 상호간의 IT 정책 또는 법률에 의거해 운영, 기술적으로 완벽하게 나눠져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분야에 대한 요구 사항이라면 IT 엔지니어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네트워크카드(NIC)를 가상 머신 별로 1대1 연결해주거나, 완벽한 분리를 위해 네트워크 팀에 의뢰하여 가상 랜(VLAN)을 따로 구성해주기도 했다.

이는 이제 운영체제 수준의 가상화를 넘어서 클라우드 시대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네트워크 이외에도 신경 써야 할 보안의 영역은 많지만 최소한 네트워크 레벨에 대한 가상화 수준도 이제 가상화 프로젝트, 아니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네트워크-시스템' 교집합을 찾아라

이에 대한 시장 내 벤더의 접근 방식은 다양하다. 요새 IT 생태계는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되고 오늘의 동지가 내일의 적이 되는 형태를 반복한다. 이 반복에는 상호간의 기술 격차,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과도 연계가 있는데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네트워크에 대한 부분은 하드웨어 수준의 연계나 비싼 모델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가상화 모델의 탑재를 모색했다.

클라우드 특징에서 다시 IT 엔지니어적인 접근을 해보자. IT 장애 발생시 고려해야 할 점이 많지만 일단은 소프트웨어적인 부분, 하드웨어적인 부분, 그리고 네트워크 부분에서 문제를 나눠서 생각한다. 소프트웨어가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나 시스템 엔지니어의 경우 “혹시 이문제가 네트워크 문제가 아닐까”라고 생각할 수 있고, 네트워크 엔지니어의 경우에는 반대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아직까지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 둘에 대한 교집합을 가지고 있는 엔지니어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기업의 팀도 네트워크 팀과 시스템 팀이 나눠져 있으며 상호간에 필요한 업무에 따라서 업무를 이관하기도 하고 요청하기도 한다.

클라우드가 되면서 이러한 모든 기술이 모호하게 다 하나의 기술처럼 요청되고 있고, 지금까지 보이는 단위로 나눠주던 팀 단위가 이제는 서비스 관점에서 서비스를 구축하는 분야, 서비스를 운영하는 분야 등의 형태로 변화해가는 것을 여러 회사에서 살펴봤다.

운영체제만을 나눠쓴다고 생각하던 시대에서 이제 정확하게 컴퓨터를 나눠 쓸 수 있는 모델들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표준으로의 논의되고, 논의된 표준에 대한 기술 구현의 순서를 밟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서 앞으로의 가상화 모델은 운영체제, 네트워크를 나누어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모델로 접근할 공산이 크다.

장비 레벨에서 접근된 네트워크라면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 모델이 클라우드 내 소프트웨어 기술과 연계돼 하나의 콘솔에서 전체를 구성 및 운영할 모습일수도 있다. 또 소프트웨어에서 2가지 레벨을 모두 제공(운영체제 레벨, 네트워크 레벨)해 기존 하드웨어 네트워크 구성은 손을 대지 않고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완벽한 고립 모델이 네트워크 레벨까지 적용된다면, 사용하는 시스템 인프라가 완전히 동일한 형태(쉽게는 IP 서브넷 영역이 같더라도)의 여러 조직 및 회사의 서비스가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서도 완벽하게 분리되어져 있는 멀티 테넌트의 완성본이 나타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네트워크 레벨과 시스템 레벨의 결합이 필수 불가결하다고 생각한다.

결국엔 컴퓨터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져 있느냐가 가상화, 나아가 클라우드의 결론과 연계되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하나의 하드웨어, 하나의 운영체제, 이에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2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가상화 환경일지더라도 동일한 형태의 아키텍쳐를 요구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서로 완벽하게 나눠져서 상호 간섭 없이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클라우드의 핵심 엔진이고, 이 엔진은 이제 누구나 손쉽게 채택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저렴한 가격 혹은 무료로 제공될 것이다.

간혹 관련업계의 세미나에 참석해보면, 클라우드라는 주제 아래 각각의 기술 벤더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술을 소개한다. 네트워크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운영 체제 가상화, 이에 대한 관리, 그리고 과금 및 보고 인프라까지, 무수히 많은 기술이 소개된다.

관련기사

결론은 클라우드 내에서 이 모든 기술이 유기적으로 연동돼 동작한다는 것이다. 클라우드는 현재의 IT 많은 기술을 아주 예쁘게 연결하는 대표 단어이고, 이 단어에서 엔지니어가 나아갈 방향은 여러 기술에 대한 연계적인 사고, 그리고 이 기술에 대한 상호 이해가 필요해진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클라우드란 단어가 더욱더 중심이 될수록 엔지니어가 참여하거나 알아야 할 기술의 분야는 넓어질 것이며, 이 넓어진 시장에 대해 얼마나 많이 준비되어져 있느냐가 더 높은 수준의 엔지니어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답변일 것이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백승주 IT컬럼니스트

IT 칼럼니스트, Microsoft 기술 전도사(Evangelist), IT 트렌드 및 주요 키워드를 다루는 꼬알라의 하얀집(http://www.koalra.co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