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탄소나노튜브소재 평가기술 국제표준됐다

일반입력 :2012/01/02 15:32

손경호 기자

우리나라가 개발한 탄소나노튜브(CNT)에 대한 전기전도도 평가기술 표준이 국제표준에 채택돼 이 분야 기술위상을 높였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2일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CNT 전기전도도 평가기술표준이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IEC/TC113)의 국제표준으로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IEC/TC113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소속된 분과로 전기·전자제품의 나노기술 및 시스템 표준화 기술위원회를 말한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이하진 박사는 기표원이 진행한 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하나로 5년간 연구 끝에 나노공정-탄소나노튜브소재 전기전도도 특성평가방법(IEC/TS 62607-2-1)의 국제표준화에 성공했다.

관련기사

CNT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해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메모리 등 주요 IT부품소재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그동안 전기 전도도의 측정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산업화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기표원은 밝혔다.

현재 나노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술이 국제표준화에 성공한 부문은 안전성 평가시험 방법 등 총 13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