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렙 다시 원점...연내 처리 불투명

일반입력 :2011/12/27 18:27

정현정 기자

방송광고판매대행사(미디어렙) 법안 관련 논의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면서 또 한 번 해를 넘길 가능성이 높아졌다.지난 26일 여야 원내수석부대표가 미디어렙 법안에 잠정 합의하면서 연내 처리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27일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합의안이 부결됐다. 여야 합의안에 대해 안팎에서 졸속 합의 논란이 불거진 탓이다.당초 여야는 미디어렙 의무위탁을 2년 유예하고 방송사의 민영 미디어렙 지분 소유 한도를 최대 40%로 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에 합의했다. MBC를 공영 미디어렙에 포함시키고 신문과 방송 광고영업을 함께하는 이종 매체 간 교차판매(크로스미디어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도 포함됐다.하지만 합의안이 그 동안 민주당이 주장하던 안에서 후퇴하면서 내부 반발이 극심했다. 연내 처리에 급급해 졸속 합의안을 처리하면 안 된다는 주장이다. 특히 방송사 미디어렙 지분 소유 한도를 최대 40%까지 허용하면서 사실상의 1사 1렙 체제가 구축되는 것은 절대로 막아야 한다는 강경론이 우세했다. 이날 의총에서는 방송사 지분 소유 한도를 20%를 낮추고 하나의 미디어렙의 2개 이상의 방송사가 포함되도록 해 1사 1렙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이종 매체 간 크로스미디어 판매 뿐만 아니라 동종 매체 간 크로스미디어 판매 금지 조항을 추가해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합의안이 부결되면서 미디어렙 여야 6인 소위 위원인 허원제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의총에서 합의안을 거부한 만큼 더 이상 양보는 힘들다”며 “6인 소위 활동은 종료됐다”고 못박았다.민주당은 수정안을 가지고 다시 한나라당과 협상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한나라당의 태도도 강경해 29일부터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미디어렙 법안이 처리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