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공직진출, 기업채용 확대돼야”

일반입력 :2011/11/28 12:33    수정: 2011/11/28 13:13

정윤희 기자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인적자원이다. 신나는 연구환경을 조성하고 과학기술이 융합된 인재를 육성하려면 이공계 출신 인재의 공직 진출과 기업 채용을 확대해야 한다.”

유영제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과 교수는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박근혜 한나라당 前 대표가 주최한 과학기술 정책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유 교수는 “과학기술을 존중하는 사회적 마인드와 이공계 선호 여건 조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이공계 융합인재의 공직 진출, 직군별 TO를 확대하고 채용시험 과목에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을 균형 있게 다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이공계 기피현상을 꼽았다. 현재 우리나라 이공계 인력의 양적 수준은 전체의 42%로 OECD 평균 26%를 상회하지만 질적 수준은 저하됐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IMD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자격을 갖춘 엔지니어 공급 수준이 세계 47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 교수는 “초, 중학교에서부터 균형 있는 과학교육을 강화해 학생들이 과학을 ‘재미있는 과목’으로 인식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국민들 전체의 과학기술에 대한 마인드 제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공계 출신 인재의 공직 진출 기회 확대도 강조했다. 정부가 이공계 인력의 공무원 신규채용을 지속적으로 장려했으나 제대로 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이공계 공무원 채용비율은 지난 2004년 50.1%에서 지난해 30.4%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유 교수는 “지식 부족으로 인해 과학기술 행정뿐만 아니라 일반 행정에서도 창의적인 업무수행이 미흡한 경우가 많다”며 “외교 부문에서도 과학기술 이슈가 점점 많아지고 있으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외교관은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이공계 대학교육 강화, 여성과학기술자 인력 확대, 근무 환경 개선, 퇴직과학기술인의 활용, 정부의 R&D 투자 확대, 연구지원체제 조성 등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박근혜 前 대표 역시 유 교수의 주장에 힘을 더했다. 과학기술인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이공계 출신 인재의 공직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근혜 前 대표는 또 “연구개발의 성과를 양보다는 질로 평가해야 한다”며 “연구보다 서류작업에 신경을 써야하는 현재의 환경에서 자율적, 도전적 연구를 위해 행정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