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전쟁 SKT 혼자 웃었다

일반입력 :2011/08/05 11:48    수정: 2011/08/06 13:47

김태정 기자

SK텔레콤이 이동통신 3사 중 홀로 2분기 영업이익을 키웠다. KT와 LG유플러스는 ‘어닝쇼크’로 발등에 불이 떨어져 대조된다.

스마트폰 가입자 확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1위 사업자만 장사가 잘되는 ‘양극화’ 현상이기에 업계 관심이 비상하다.

최근 각사 2분기 실적발표를 보면 한 마디로 SK텔레콤만 웃었다. 매출 4조410억원, 영업이익 6천5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7%, 2.0% 늘었다. ‘대폭’까지는 아니어도 통신비 인하와 망 구축 투자를 감안하면 선방했다고 증권가는 분석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영업이익이 급감했다. 2분기 영업이익이 KT는 4천324억원, LG유플러스는 6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5.9%, 38.1% 떨어졌다. 이른바 ‘어닝쇼크’다.

■가입자 늘리기 경쟁에 멍들어

승부는 가입자당평균매출액(ARPU)이 갈랐다. SK텔레콤의 ARPU는 1분기 3만3천317원에서 2분기 3만3천592원으로 274원 올랐다. 2분기 말 기준 스마트폰 가입자 750만명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애용해줬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KT는 음성 ARPU 급감으로 고민이 크다. 2분기 음성 ARPU가 1만9천689원으로 전년 동기 2만4천101원 대비 18.3% 줄었다. 무선 데이터 ARPU가 1만489원으로 전년 동기 7천384원 대비 34.7% 늘었지만, 금액만 따지면 음성 부문 타격을 크게는 만회하지 못했다.

LG유플러스는 2분기 ARPU가 3만195원으로 3만원대를 회복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8% 이상 줄어든 수치다.

이 같은 결과는 2~3위 사업자가 가입자 늘리기를 위한 할인요금제와 유무선상품 결합 등의 전략을 강화해 나온 후유증이라고 업계는 분석한다.

성기섭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CFO)은 “2분기 ARUP가 1분기 보다는 늘었지만 평년 수준에는 못 미친다”며 “하반기 스마트폰 가입자를 더욱 늘려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케팅비 전쟁, 하반기 심화 예고

천문학적 규모의 마케팅비도 관전 포인트. 2분기 마케팅비는 SK텔레콤 8천190억원, KT 5천142억원, LG유플러스 3천940억원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이 가장 많이 썼지만 전년 동기 대비 7.8% 줄인 수치다. 2분기 스마트폰 순증 가입자 230만명을 확보하면서 마케팅비는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같은 기간 마케팅비를 KT는 0.4% 줄이는데 그쳤고, LG유플러스는 오히려 0.6% 늘렸다. 마케팅비가 여전히 실적에 악재로 작용했다.

하반기가 더 문제다. 스마트폰 가입자 유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가운데 4세대 이동통신 ‘롱텀에볼루션(LTE)’ 마케팅까지 벌여야 한다.

관련기사

아울러 이동통신 3사 모두 하반기 통신료를 내릴 계획이며,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소화할 설비 투자도 필요하다. 영업이익이 오른 SK텔레콤 역시 걱정이 큰 하반기다.

김연학 KT CFO는 “내부 프로세스를 혁신해 하반기에는 적정 수준의 이익을 지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유무선 네트워크의 강점을 살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