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저가 스마트폰 내세운 까닭

일반입력 :2011/04/04 09:42    수정: 2011/04/05 09:29

김태정 기자

삼성전자가 60만원대 보급형 스마트폰들을 국내에 전진 배치했다. 점유율이 급감한 가운데 나온 전략인데 애플 아이폰이 역시 걸림돌이다.

아이폰은 KT에 이어 최근 SK텔레콤까지 유통에 나서면서 힘이 더 커졌다. 삼성전자의 국내 휴대폰 시장 지분을 적잖이 뺏었다.

■삼성폰 점유율 급감…‘발등에 불’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 에이스(SK텔레콤)’와 ‘갤럭시 네오(LG유플러스)’ 등 60만원대 스마트폰들을 잇따라 출시, 점유율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지난 2월말 SK텔레콤으로 출시한 ‘갤럭시 에이스’가 최근까지 13만대 이상 팔리는 등 준수한 성적을 거둔 시점에서 ‘갤럭시 네오’로 전력을 한층 올리겠다는 작전이다.삼성전자의 주력인 ‘갤럭시S’는 출시한지 10개월 가량 지나면서 인기가 한풀 꺾였다. 한 때 1만3천대에 달했던 일 개통량도 최근에는 5천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달 말 ‘갤럭시S2’ 출시까지 여유 있게 기다릴 상황이 아니다.

‘갤럭시S’의 인기 하락은 삼성전자 국내 휴대폰 점유율까지 끌어 내렸다. 지난 1월과 2월 50% 이상이었던 삼성전자의 휴대폰 시장 점유율은 지난 달 43%까지 떨어졌다.

이는 ‘갤럭시S’를 단독 유통 중인 SK텔레콤이 ‘아이폰4’를 새 주력으로 판매하면서 어느 정도 예상됐던 결과다. SK텔레콤은 아이폰 전용 AS센터까지 자체 구축하면서 두 회사 관계가 소원해졌다는 추측이 힘을 받았다.

■저가 스마트폰 비중 늘린다

삼성전자는 저가 스마트폰 공세를 당분간 이어갈 전망이다. 현재보다 파격적으로 싼 스마트폰을 출시 계획도 검토 중이다.

신종균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지난 2월 간담회서 “출고가 150달러(약 16만원) 정도의 스마트폰을 상반기에 출시해 저가 수요를 공략할 것”이라며 “전체 휴대폰 생산량 중 스마트폰 비중을 크게 늘리겠다”고 밝혔었다.

10만원대 저가 스마트폰 전략은 동유럽과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을 겨냥했다. 다만, 국내서도 50만원 미만 스마트폰 출시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고가 스마트폰만으로는 점유율 확보에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SK텔레콤 의존도를 줄이고 KT, LG유플러스 등과 협력을 강화하면서 제품 라인업 규모를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를 맞아 제품 라인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며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들을 내세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