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원 간 막말 고성...왜?

일반입력 :2011/01/06 16:25    수정: 2011/01/07 09:57

김태정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의 새해 첫 전체회의서 고성과 삿대질이 오갔다. 지난 연말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에 대한 불공정 논란으로 진통이 상당하다.

6일 방통위 1차 전체회의서 야당추천 양문석 상임위원이 종편 및 보도채널 심사내용 공개 여부를 결정할 때 상임위원 역할을 검토하자는 의견을 내놓자, 다른 위원들이 절차 문제를 제기하면서 분위기가 험악해졌다.

양 위원은 “(심사가)거품이 아니라는 것을 방통위가 증명할 시점”이라며 “의혹이 불거지는 마당에 모든 것을 깔끔하게 공개, 정면 돌파하자”고 주장했다.

이는 보도채널에서 탈락한 머니투데이와 CBS가 지난 4일 방통위 청구한 심사정보 공개를 들어주자는 취지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형태근 상임위원이 “다른 안건을 처리해야 한다”며 절차 문제를 제기했고, 양 위원이 “정상적 절차인데 왜 끼어드냐”고 반박하면서 고성이 시작됐다.

그러자 최시중 위원장이 “여기 ‘보청기’ 낀 사람 없으니 거부감 주지 않는 목소리 톤을 유지하라”며 중재에 나섰지만 분위기는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다.

문제는 양 위원의 문제 제기가 ‘절차’에 맞는지 여부다.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수용 여부 결정은 방통위 실무국장이 하도록 돼 있어, 상임위원은 의견을 제시할 별도의 방법이 없다.

일반적으로 방통위 전체회의는 미리 상정된 안건을 논의하지만, ‘기타 안건’도 다루기에 문제 없다는 것이 양 위원의 주장이다.

곧, 정보공개 논란을 기타 안건으로 제기한 것인데, 정식 상정 절차를 밟으면 다른 위원들의 반대로 무산될 것이라는 우려도 깔렸다.

최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얘기할 사항이 있다면 간담회 등 자유로운 방법이 있지 않느냐”며 “방통위는 숨길 것도 뺄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 위원이)궁금한 점은 실무 국장에게 물으면 답하지 않을 사람이 없다”며 “위원회가 잘 되도록 선의의 입장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종편·보도채널 관련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머니투데이와 CBS의 정보공개 요구가 거센 가운데 방통위는 아직 이렇다 할 답을 내놓지 않았다.

아울러 을지병원이 보도전문 채널 사업자로 선정된 ‘연합뉴스TV(가칭)’에 출자하는 것을 두고 논란이 커진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