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선정]미디어시장 공멸? 성장?

일반입력 :2010/12/31 15:29    수정: 2011/01/01 09:33

제한된 방송광고시장에 종합편성채널 4개, 보도전문채널 1개 등 새로운 방송사업자가 출현함에 따라, 2011년은 ‘미디어 빅뱅’이 시작되는 원년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31일 전체회의를 열고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 중앙미디어네트워크의 ‘jTBC’, 조선일보 ‘CSTV’, 동아일보 ‘채널에이’, 매일경제신문 ‘MBS’, 보도전문채널사업자로 ‘연합뉴스TV’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종편·보도전문채널 선정 논의 초기 사업자 개수를 놓고 논란이 끊이질 않았으나 이날 방통위는 종편 4개, 보도 1개 등 총 5개 사업자를 최종 선정했다.

기존 지상파방송조차 성장률이 마이너스인 상황에서 새 방송사업자를 5개까지 선정하면서 방송사업자 모두 공멸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지난 2000년 옛 정보통신부가 통신시장에서 3개의 3G IMT-2000사업자를 선정했으나 결국 LG텔레콤(현 LG유플러스)이 사업권을 반납했던 것과 같이, 방송시장 역시 신규 5개 사업자는 과다하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따라, 내년 하반기 종편·보도채널의 등장, 코바코(KOBACO) 체제의 해체와 함께 민영 미디어렙 도입 등이 이어지면서, 미디어 시장은 방송·신문·인터넷 등의 구분 없는 치열한 생존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따라서 향후 방통위가 종편·보도채널 지원을 위한 채널정책과 행정지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도 미디어 업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김준상 방송정책국장은 “이번 종합·보도채널 선정에 절대평가를 도입한 취지는 경쟁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며 “사업 환경이 좋지 않다는 것은 우려하고 있지만 공정한 룰 속에서 상생을 갈 수 있도록 관련 정책 등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종편·보도채널 출범 때까지 선정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이병기 심사위원장의 공정성 및 선정 결과 사전 유출 논란은 이를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심사위원회 선정 과정에 방통위의 야당 추천 위원들이 빠지고 여당 추천 위원 2명이 위원의 절반을 선정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논란은 쉬이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때문에 이날 종편·보도채널 사업자 선정과 함께 야당과 시민단체 등은 일제히 ‘원천무효’를 주장하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문순 의원은 “방송에서는 정치적 공정성이 대단히 중요한 가치이지만 이번 허가에서는 방송의 정치적 중립성을 현저히 훼손하고 있다”며 “이는 여론 다양성 언론 자유,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는 점에서 국민들이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