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르노 전기차에 배터리 공급

일반입력 :2010/09/30 17:34    수정: 2010/10/01 18:12

송주영 기자

LG화학(대표 김반석)이 유럽 자동차 업체인 르노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본격 공급한다.

LG화학은 30일 르노 초대형 ‘순수 전기차 프로젝트’의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업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

이로써 LG화학은 유럽시장 1위인 볼보에 이어 내년부터 유럽 3위 르노가 양산할 순수 전기차에 배터리를 장기간 대량으로 공급하게 됐다.

LG화학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항은 밝힐 수 없지만 전기차 양산 규모 등을 감안할 경우 지금까지의 공급계약 중 가장 큰 규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르노는 제휴사인 닛산과 함께 세계적인 전기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2년까지 50만대 규모의 전기차 양산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각지에 생산공장을 건설하는 등 전기차 분야에서 가장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미국에 이어 유럽시장에서도 복수의 메이저 고객사를 확보함으로써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더욱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지금까지의 추세를 감안했을 때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 단기간 내 안정적인 이익 창출은 물론 2015년 매출 3조원 이상 달성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지속적인 R&D투자와 추가 공급업체 확보를 통해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욱 벌려 세계 1위 지위를 확고히 다지겠다”고 덧붙였다.

LG화학은 지금까지 현대기아차, GM, 르노, 포드, 장안기차 등 전세계 총 8곳의 글로벌 고객사와의 공급계약을 발표했다. 현재 진행 중인 개발 프로젝트를 감안할 경우 올해 말까지 2~3곳 이상의 추가 계약도 기대된다.

한편, LG화학은 올해 총 400여명의 R&D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다. 특히 차세대 배터리 관련 R&D분야에는 500억원이상을 투자해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안정적인 공급 대응력을 갖추기 위해 국내, 해외 현지 공장 건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국내의 경우 충북 오창산업단지에 위치한 오창테크노파크에 2013년까지 총 1조원을 투자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하반기부터 GM, 현대기아차 등에 물량을 본격 공급한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미국 미시건주 홀랜드시 현지에는 총 3억달러를 투자해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준으로 약 20만대 분량의 배터리 셀(Cell)을 공급할 수 있는 현지 공장을 건설한다. 2012년부터 첫 상업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한편 LG화학은 글로벌 고객사 추가 확보를 통한 공급 물량 확대에 대비해 국내와 미국 외 유럽 및 기타 지역의 현지공장 건설도 검토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