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충전소 확산된다

일반입력 :2010/01/25 13:23    수정: 2010/01/25 14:03

황치규 기자

기업들이 스마트 그리드 관련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가칭) 지능형 전력망 구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올해안에 제정된다. 전기차 보급대수에 맞춰 공공기관, 대형마트, 주차장, 주유소 등에 전기차 충전소도 만들어진다.

지식경제부는 25일 한국전력공사 대회의실에서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총괄위원회(위원장  김영학 차관)를 열고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에 따른 특별법 제정과 충전소 설립 계획을 언급했다.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은 그동안 전력IT 기술개발, 제주 실증단지 구축 등 개별사업 중심으로 추진해 오던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를 국가 차원의 종합적 계획으로 제시해 향후 기업에게 관련 제도 개선 및 인센티브 등 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게 골자.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내걸고 있다. 시범도시․광역시도 등 선거점구축, 후확산전략에 따라 2030년까지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완료하는 내용도 담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능형 전력망, 소비자, 수송, 신재생, 서비스 등 5대 분야에 대한 단계별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나가기로 했다. 충전소 구축과 특별법 제정을 통해 스마트그리드를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대수에 맞추어 충전소를 2011년 시범도시 200대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2만7천여대를 구축할 계획이다. 충전소는 공공기관, 대형마트, 주차장, 주유소 등을 중심으로 구축되며, 초기에는 정부에서 일부 구축비용에 대해 재정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특별법도 올해안에 제정하고 제주 실증단지에서 검증된 제품과 기술에 대해서는 국가표준으로 제정하고, 국내 보급사업에 우선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스마트그리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민관 공동분담을 통해 2030년까지 총27.5조원이 소요될 것을 전망했다. 정부 분담액은 2.7조원.  초기 핵심기술 개발 및 신제품 시장창출, 공공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기술개발 및 시장의 성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원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민간 분담액은 대부분 향후 시장 확대에 따른 자발적 투자로 24.8조원 규모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정부에 따르면 스마트그리드가 성공적으로 구축되는 2030년이 되면 총2억3천만톤의 온실가스 감축(누적치), 5만개 일자리(연평균) 및 74조원 규모 내수창출(누적치)이 기대된다.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은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홈페이지(www.smartgrid.or.kr)을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