썬, 독자노선 or 새로운 빅딜 추진?

썬 주가 20% 급락…HP, 후지쯔 등 새 매각대상 후보 거론

일반입력 :2009/04/07 09:46    수정: 2009/04/07 10:21

황치규 기자

'빅블루' IBM과의 합병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썬마이크로시스템즈의 다음 행보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IBM과의 협상이 결렬됐다는 얘기가 나오자 썬 주가는 20% 이상 주저앉았다. 이에 조나단 슈워츠가 이끄는 썬 경영진은 대안을 내놓으라는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썬이 취할 경우의 수는 크게 두가지다. 새로운 구매자를 찾거나 아니면 독자노선을 추구하는 것이다.

인수합병(M&A) 관점에서 보면 시스코시스템즈가 썬 인수에 뛰어들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시스코는 최근 x86서버 시장에 진출했다.

썬 스팍칩 기반 서버를 판매하는 후지쯔도 후보로 거론된다. IBM과 서버 시장에서 맹주 경쟁을 하고 있는 휴렛패커드(HP)의 이름도 오르내리고 있다.

IBM과 썬이 합병을 논의중이란 보도가 나올 당시 오라클과 휴렛패커드(HP)가 썬 인수를 위해 공동 작전을 펼치려 했다는 루머도 나왔었다. 이를 통해 오라클은 자바, ZFS, 글래스피시, 솔라리스, 오픈솔라리스, 오픈오피스 등 썬의 SW 제품군을, HP는 썬 하드웨어를 확보하려 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이 제안은 썬에 의해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업체에 파는게 아니라면 썬은 계속되는 매출 감소와 IBM과의 협상 결렬의 책임을 물어 경영진을 교체하는 카드를 꺼낼 수 있다. 이미 조나단 슈워츠 최고경영자(CEO)가 물러나고 스콧 맥닐리 썬 공동 창업자 겸 회장이 그 자리에 복귀할 것이란 루머가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슈워츠 CEO는 IBM 인수안에 찬성한 반면 맥닐리가 이끄는 이사회 그룹이 이를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콧 맥닐리는 4년전 CEO에서 물러났다.

관련기사

썬은 일단 IBM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아무일도 없었다는듯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신제품을 계속 개발하고 올 하반기에는 16코어 '록'(Rock) 프로세서도 공개하기로 했다. '록'은 당초 일정보다 1년 이상 출시가 늦어진 것이다.

문제는 썬에 대한 주변의 시선이다. 어떤 방향으로 갈지 불확실하다는 반응이 많다. 이에 따라 기업 사용자들이 계속 썬 하드웨어를 구입하도록할 명분이 약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고객들은 썬의 계획이 분명해질때까지 투자를 주저할 것이란 얘기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