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국에서 대규모 금 매장지가 연이어 발견돼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얼랏이 금광을 집중 조명한 기사를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3월 약 2천톤 규모 금 매장지 두 곳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하나는 중국 중부 후난성의 왕구 금광, 또 하나는 북동부 랴오닝성의 다둥거우 금광이다. 두 광산 모두 중국 내에서 확인된 금 매장량 중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향후 추가 지질 조사를 통해 실제 매장량이 확인되면 그 가치는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초기 보고서에 따르면, 왕구 금광만 해도 6천억 위안(830억 달러) 이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추산된다.
작년 말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왕구 금광에 대해 "중국의 금 자원을 획기적으로 늘릴 초거대 광산이다"고 보도했다. 당시 탐사에 참여했던 중국 국토자원국의 첸 루린 탐사원은 "시추한 암석 코어 중 상당 수에서 금이 육안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왕구 금광에는 깊이 2천m까지 총 300톤, 3천m까지는 1천 톤 이상의 금이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왕구 금광에 대한 한 공식 과학 논문이나 보고서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탐사 보고서가 준비 중일 가능성이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다둥거우 금광은 이보다 더 규모로 평가된다. 중국 국무원 신문 판공실은 지난 9월 이 지역 잠적 금 매장량이 최대 1천500톤에 이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초 차이나 마이닝 매거진에 실린 보고서에서 추산한 1천 톤보다 많은 수치다.
다둥거우 광산은 랴오닝성 제5지질대가 발견한 것으로, 과거 경제성이 낮다고 여겨졌던 이곳의 금 흔적이 실제로는 길이 약 3천m, 너비 1천500m 규모의 거대한 연속 광물대에 속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탐사팀이 뚫은 모든 시추공에서 금이 발견됐으며, 금 함량은 백만분율(ppm) 기준 0.3~1 수준으로 비교적 낮지만, 연구진은 추출이 용이해 잠재적인 금 회수율이 65~91%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다웅거우 금광은 이미 경제적 타당성 평가를 통해 개발의 길이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금값은 치솟는데…금, 지구에 얼마나 남아 있을까2025.06.17
- "화산 용암서 금 새어 나오고 있다"…어디서 왔나 봤더니2025.05.26
- "달 분화구에 엄청난 백금 있다…1천300조원 이상" [우주로 간다]2025.06.09
- 잘 나가다 폭락한 금값…앞으로 어떻게 될까2025.10.28
인간은 오랜 세월 금을 장신구나 예술 작품, 투자 수단으로 활용하며 귀중히 여겼으나, 현재 지구 상층부에는 그다지 풍부하지 않은 상태다. 지구 지각에서 금 농도는 1톤당 약 0.004g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이번 사례처럼 금이 집중된 지역이 존재하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021년 캐나다 연구진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풍부한 금광이 더 흔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기존 추정치에서 배제됐던 여러 지질 환경에서도 형성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은 금이 남아 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해당 매체는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