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서 초대형 금광 무더기 발견…"2천500톤 규모"

과학입력 :2025/11/28 14:48    수정: 2025/11/28 14:48

지난해 중국에서 대규모 금 매장지가 연이어 발견돼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얼랏이 금광을 집중 조명한 기사를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3월 약 2천톤 규모 금 매장지 두 곳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하나는 중국 중부 후난성의 왕구 금광, 또 하나는 북동부 랴오닝성의 다둥거우 금광이다. 두 광산 모두 중국 내에서 확인된 금 매장량 중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중국에서 대규모 금 매장지 발견이 잇따르며 주목을 받고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향후 추가 지질 조사를 통해 실제 매장량이 확인되면 그 가치는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초기 보고서에 따르면, 왕구 금광만 해도 6천억 위안(830억 달러) 이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추산된다.

작년 말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왕구 금광에 대해 "중국의 금 자원을 획기적으로 늘릴 초거대 광산이다"고 보도했다. 당시 탐사에 참여했던 중국 국토자원국의 첸 루린 탐사원은 "시추한 암석 코어 중 상당 수에서 금이 육안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왕구 금광에는 깊이 2천m까지 총 300톤, 3천m까지는 1천 톤 이상의 금이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왕구 금광에 대한 한 공식 과학 논문이나 보고서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탐사 보고서가 준비 중일 가능성이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채굴된 금을 금괴로 만드는 모습을 상상한 이미지 (사진=챗GPT로 생성)

다둥거우 금광은 이보다 더 규모로 평가된다. 중국 국무원 신문 판공실은 지난 9월 이 지역 잠적 금 매장량이 최대 1천500톤에 이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초 차이나 마이닝 매거진에 실린 보고서에서 추산한 1천 톤보다 많은 수치다.

다둥거우 광산은 랴오닝성 제5지질대가 발견한 것으로, 과거 경제성이 낮다고 여겨졌던 이곳의 금 흔적이 실제로는 길이 약 3천m, 너비 1천500m 규모의 거대한 연속 광물대에 속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탐사팀이 뚫은 모든 시추공에서 금이 발견됐으며, 금 함량은 백만분율(ppm) 기준 0.3~1 수준으로 비교적 낮지만, 연구진은 추출이 용이해 잠재적인 금 회수율이 65~91%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다웅거우 금광은 이미 경제적 타당성 평가를 통해 개발의 길이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인간은 오랜 세월 금을 장신구나 예술 작품, 투자 수단으로 활용하며 귀중히 여겼으나, 현재 지구 상층부에는 그다지 풍부하지 않은 상태다. 지구 지각에서 금 농도는 1톤당 약 0.004g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이번 사례처럼 금이 집중된 지역이 존재하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021년 캐나다 연구진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풍부한 금광이 더 흔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기존 추정치에서 배제됐던 여러 지질 환경에서도 형성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은 금이 남아 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해당 매체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