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스당 4천 달러선이 붕괴됐던 금값이 28일 전일 대비 약 0.9% 상승하면서 4천 달러 선을 회복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전날의 국제 금값 하락은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역협상 낙관론이 확산되면서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약해진 때문으로 분석됐다.
페퍼스톤 그룹 리서치 책임자 크리스 웨스턴은 "금이 계속해서 저점을 낮추고 있고, 선물 거래량이 하락장에서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현재로서는 바닥을 예측하기는 어렵다"면서, "지금 시점에서는 하락 후 전략적으로 매수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가파르게 상승했던 금값이 최근 급락세로 돌아선 것은 일본에서 열린 런던귀금속시장협회(LBMA)에서도 뜨거운 화두였다. 세계금협회(WGC) 시장 전략가 존 리드는 27일 이 행사에서 “중앙은행들의 금 수요가 예전만큼 강하지 않다”라며, “시장에서 더 깊은 조정 국면은 전문 딜러들에게는 오히려 반가운 일일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시티그룹 분석가들은 보고서에서 미국이 중국과의 협상에 나서고 금값 상승 모멘텀이 바뀌며 미정부의 셧다운이 종료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향후 며칠 또는 몇 주간 금값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향후 3개월 내 온스당 3천80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오는 29일 끝나는 이틀 간의 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연속 두 번째 금리 인하 조치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증가, 달러화 약세 가능성 등으로 금의 투자 매력을 높일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관련기사
- "금값 미쳤다, 얼마까지 오르나"…분석가들 전망은2025.10.17
- 금 뛰니 은 값도 같이 뛰네…40년만에 최고치2025.10.14
- '金테크' 대세...순금제품 주문액 전년 比 98%↑2025.06.18
- 금값 최고치 경신…"내년에 더 오른다"2025.10.08
단기 조정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금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HSBC,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은 모두 내년 금값 전망치를 5천 달러로 제시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다.
LBMA 루스 크로웰 최고경영자(CEO)는 "금은 견조한 상승 궤도에 올라 있으며, 이미 투자자들에게 주류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전 세계에서 금 거래량이 증가하는 흐름이 뚜렷하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새로운 장의 시작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