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 핵심 인프라가 될 초고압직류송전(HVDC) 상용화를 위해 산·학·연 협력체계로 'HVDC 추진단'을 구성한다.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26일 기후·에너지 분야 ‘초혁신 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계획3’을 발표하며, 그중 하나로 HVDC를 제시했다.
HVDC 기술은 전력 손실이 적고 장거리 대용량 송전에 유리, 재생에너지 연계에 최적화돼 있어 글로벌 전력인프라 핵심이다. 국내 업체들은 송전선로(케이블) 경쟁력은 높지만, 기존 교류 변압기 활용, 양극 시스템 변환용 변압기 기술은 부재한 상황이다.
밸브와 제어기 등 핵심 변환기술 역시 히타치·지멘스·GE 등 소수 글로벌 선도기업이 장악하고 있어 국내 변환설비 분야 기술 자립과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정부는 평가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연계에 강점이 있는 전압형 HVDC 기술을 조기 확보하고, 국내외 프로젝트 실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30년 에너지고속도로를 적기에 구축하기 위해 HVDC 핵심 기자재 설계·제작·시험 역량을 갖춘 중전기기 제작업체 중심의 산·학·연 협력체계 구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산업계(HD현대일렉트릭·LS일렉트릭·효성중공업·일진전기) ▲학·연(한양대 에리카·한국전기연구원) ▲정부(기후에너지환경부·기획재정부) 등이 참여하는 ‘HVDC 추진단’을 공식 출범시킨다.
핵심 기자재 기술개발은 2027년까지를 목표로 한다. 민관 합동으로 500kV급 전압형 HVDC 양극 시스템 변환용 변압기 설계·제작 기술을 확보하고, 2GW급 전압형 HVDC 밸브·제어기 기술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개발된 기술들은 2027년부터 실 전력망에 투입해 실증을 준비한다. 내년 말까지 SPC 설립 후 2030년 준공 예정인 2GW 규모 새만금-서화성(220km) 선로 구간 대상으로 실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기후부는 2023년부터 연간 10억원을 투입해 DC그리드 에너지 혁신연구센터를 거점으로 20개 기업과 함께 고급 인력 양성 사업을 운영 중이다. 여기에 더해 2026년 ‘차세대 전력기기 시스템 혁신연구센터’, 2027년 ‘HVDC 고급인력 양성 혁신연구센터’ 신설을 추진한다.
아울러 민간에서 제기한 행정 지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장비 심의를 신속히 진행하고, 실증사업에 한해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면제를 추진하는 등 규제 개선에도 나선다. 정부는 대용량·상용화 기술의 국산화를 통해 2030년까지 HVDC 기술 글로벌 톱5에 진입하고, 직류·교류 복합 전력망 구축 및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톱3 수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업계는 정부의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아직 본격적으로 형성되지 않은 시장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도 나온다.
관련기사
- HD현대일렉트릭, ‘HVDC 강자’ 히타치에너지와 맞손2025.10.16
- 에너지고속도로, 국산 변압기로 깐다…적기 구축 촉각2025.09.25
- 효성중공업 "독자 기술로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주도할 것”2025.09.04
- LS전선, 국내 최대 HVDC 사업 본격화2025.11.24
업계 관계자는 "해외 선진업체에 비해 HVDC 연구개발 속도를 더욱 높여야 하는 상황인 만큼, 정부의 국산화 정책 기조에 부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우수 연구 인력 확보와 산학연 협력체계가 탄탄히 마련된다면 연구개발에도 한층 더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HVDC 시장은 결국 수요가 있어야 열린다”며 “한국(에너지고속도로) 외에도 해외 시장이 얼마나 성장하는지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