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웨이브가 FY26 글로벌 전략과 인공지능(AI)·클라우드 보안 로드맵을 공유하며 파트너사와의 협력 강화에 나섰다.
F5 국내 총판사인 시큐웨이브는 '파트너 커넥트 데이 2025'를 개최하고 차세대 비즈니스 혁신 방향과 최신 보안 전략을 공유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시큐웨이브가 주최하고 F5가 함께했으며, 애플리케이션·보안·AI·API를 아우르는 3개 세션으로 구성돼 기술 전문가들이 발표를 진행했다.
행사의 문을 연 F5 이형욱 지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FY26 글로벌 전략을 소개했다. 이 지사장은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및 보안 플랫폼(ADSP), AI 기반 보안, API 통합, 구독형 비즈니스 모델 등 F5의 핵심 전략 축을 공유하며 국내 파트너 생태계와의 연계 방안을 설명했다.
그는 애플리케이션 환경이 복잡해질수록 네트워크·보안·관제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는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 F5 코리아 윤원수 이사는 'ADSP 포트폴리오로 여는 차세대 비즈니스 혁신'을 주제로 발표했다. 윤 이사는 F5의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및 보안 플랫폼인 ADSP를 기반으로 기업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현대 기업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성능, 보안, 자동화가 동시에 요구된다"며 F5 솔루션을 활용한 차세대 비즈니스 혁신 사례와 도입 전략을 소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 시큐웨이브 이선구 과장은 '오픈소스에서 모던 애플리케이션으로, 그리고 통합의 시대'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과장은 오픈소스 기반 개발 환경이 컨테이너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되면서 통합 트래픽 관리와 보안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고 짚었다.
또 최신 개발·운영 트렌드에 맞는 효율적인 통합 전략과 엔진엑스(NGINX)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파트너들이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형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이어진 세 번째 세션에서 시큐웨이브 김정 부장은 'AI와 API의 융합, F5가 제시하는 새로운 보안 프레임워크'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부장은 AI와 API 기반 환경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보안 위협 양상을 설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F5의 보안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AI 가드레일(AI Guardrails), API 시큐리티(API Security), AI 게이트웨이(AI Gateway)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보안 프레임워크를 소개하며 "디지털 환경이 복잡해지고 API 중심 구조로 전환되면서 기존 보안 방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AI 기반 분석과 자동화 대응을 결합한 새로운 보안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 오픈베이스, 창립 30주년 기념…"고객 중심 혁신으로 지속 성장"2025.09.23
- 오픈베이스, 라드웨어 솔루션 시장 확산 앞장…아태 지역 우수 파트너로 '인정'2025.09.17
- 오픈베이스, KISA와 사이버 위협 대응 플랫폼 구축 '맞손'2025.08.19
- 보안 상장사 작년 매출 보니…안랩, 1등 아니네2025.04.17
행사에 참석한 파트너사들은 FY26 전략과 최신 기술 트렌드, 실무 적용 사례를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특히 ADSP, AI 보안, 자동화 기반 운영 전략은 FY26부터 FY28까지 중기 시장에서 파트너 비즈니스 기회를 크게 넓혀줄 수 있는 청사진으로 평가됐다. 파트너들은 API 통합, 클라우드 전환, 보안 자동화 등 각자의 사업 영역과 결합 가능한 지점을 적극 모색하는 분위기였다.
시큐웨이브 관계자는 "앞으로도 파트너사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 AI 보안, 클라우드 통합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며 "FY26에도 F5와 함께 국내 애플리케이션·보안 생태계 확장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