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은 지난 21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사무국에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와 '내방가사'의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신청서를 제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신청된 두 기록물은 지난 9월 19일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등재 신청 대상으로 선정됐다. 최종 등재 여부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의 심사를 거쳐 오는 2027년 상반기 프랑스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는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작성된 '말모이' 1책과 1929년부터 1957년까지 집필된 '조선말 큰사전' 원고 18책을 포함한다. 이는 일제강점기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모국어를 보존하고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던 모국어 운동의 산물로 평가받는다.
국가유산청은 이 기록물이 한자 중심에서 한글 중심으로의 언어생활 변화를 이끌고, 문맹 퇴치와 교육 기회 확대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내방가사'는 1794년부터 1960년대 말까지 향유된 여성 고유의 한글 문학 기록물 567점을 포함한다. '여성의 공간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의미를 가진 내방가사는 여성들의 모임을 통해 필사되고 전승됐다.
관련기사
- 데브시스터즈-국가유산청, 덕수궁 특별전 '쿠키런: 사라진 국가유산을 찾아서' 마련2025.11.18
-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마련2025.11.10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광복 80주년 경복궁' 학술 토론회 개최2025.11.05
- 국가유산청 덕수궁관리소, 초등학생 대상 '고종과 제국익문사의 비밀' 운영2025.11.04
다양한 계층의 여성이 문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자발적으로 창작과 전승의 주체로 활약했음을 입증하는 자료로서 의미가 크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우리의 기록유산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확대하고, 우수한 기록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