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국 주장 일축…"대만 관련 입장 바뀐 적 없다"

UN 서한에 공식 반박… "입장 변화 없으며 대화 계속할 것"

디지털경제입력 :2025/11/23 13:32

일본 정부가 중국의 UN 서한에 공식 반박했다. 중국은 일본이 타이완해협 사태에 개입할 경우 군사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일본은 발언 취지를 왜곡한 전혀 근거 없는 지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 대변인 고바야시 마키 관방부장관은 G20 정상회의가 열린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외신과 만나 중국의 UN 서한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날 중국은 UN에 보낸 서한에서 일본이 대만 해협 사태에 군사 개입을 감행한다면 단호한 자위 조치를 취할 것이며, 다카이치 사나에 총재의 최근 발언이 일본의 기존 전략적 모호성을 벗어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사진=공식 엑스 캡처)

외신에 따르면 일본은 이런 해석 자체가 잘못됐다는 입장이다. 다카이치의 발언은 가상의 질문에 대한 답변일 뿐, 대만 문제에 대한 일본의 기존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설명이다.

고바야시 부장관은 중국 측에 발언의 취지와 일본의 일관된 입장을 여러 차례 설명했으며, 대화 의지는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은 이번 G20에서 다카이치 총재 유력주자와 리창 총리의 회담 계획이 없다고 밝힌 상황이다.

중국의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중국 주일대사관은 X(옛 트위터)를 통해 일본이 침략 행위에 해당하는 조치를 취할 경우 UN 안보리 승인 없이도 직접 군사 행동을 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적국 조항을 근거로 들었지만, 구체적 설명은 없었다.

관련기사

양국 관계는 이미 악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부 중국인 관광객들은 일본 여행을 취소했고,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제한했다. 그럼에도 일본은 중국을 최대 교역 상대국으로 두고 있으며, 희토류 등 핵심 자원 공급에서도 중국 의존도가 높다.

고바야시 부장관은 희토류 등 일부 분야에서는 중국 의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으며,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은 일본 안보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