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철을 맞아 국내 김치 소비가 늘고 있지만, 실제 소비 증가분의 상당 부분은 수입 김치가 차지하고 있다. 올 1~9월 국내 김치 수입량은 약 25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해 연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인 300억원을 투입해 김장 재료를 최대 40%까지 할인 지원하며 국산 김치 소비를 늘리기 위한 대책을 내놓은 상태다.
외식·식품 업계도 국산 김치 사용을 강조하는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한솥도시락은 오는 22일 ‘김치의 날’을 앞두고 창업 이후 32년간 모든 메뉴에 국산 김치만 사용해왔다고 밝혔다. 국내산 배추와 고춧가루 등 국내 농산물로 만든 김치만 취급하며, 위생 기준 미달이나 품질이 불명확한 제조사 제품은 쓰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한솥도시락은 이러한 정책이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전제로 한다고 설명했다. 계절에 따라 전북 고창, 강원 태백, 전남 해남 등 국내 산지와 계약재배를 통해 배추를 매입해 농가에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고, 장기적인 농가 성장에 보탬이 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 배추·다발무 20% 할인…이마트, 2025 김장대전 시작2025.11.04
- 한식 프랜차이즈 본죽&비빔밥·두찜 등 식품위생법 위반 많아2025.10.12
- 대상, 프랑스 파리15시 ‘김치의 날’ 공식 제정 동참2025.10.10
- "국산 태양광 모듈 비중 반토막…중국산 60% 육박"2025.09.22
김치를 활용한 메뉴 구성도 확대하고 있다. 한솥도시락은 11월 ‘김치 덮밥 시리즈’ 4종을 신메뉴로 출시했고, 김치·피자·탕수육을 함께 담은 ‘김피탕’ 메뉴도 재출시했다.
한솥도시락 관계자는 “한솥은 국산 김치 원칙을 지키며 농가와의 상생과 안전한 먹거리를 함께 추구하고 있다”며 “도시락 프랜차이즈로서 국산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며 고객에게 따뜻한 한 끼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