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가 27일~29일까지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International Conference Stroke Update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racranial Atherosclerosis 2025(이하 ICSU & ICAS 2025)’를 공동 개최한다.
그동안 ICSU는 단독 학술대회로 개최돼왔다. 올해부터는 처음으로 ICAS와 공동으로 열린다. 이번 대회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중국‧일본‧호주‧그리스‧대만 등 23개국에서 약 634명(해외 113명)이 참여한다.
해외 연자 16명을 포함해 국내외 전문가들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사용 승인을 받은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를 활용한 초급성기 뇌경색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또 원인불명 뇌경색 환자의 진단 및 치료, 고혈압·고지혈증 등 뇌졸중 주요 위험인자 치료의 최신 진료 지침 및 약물치료 등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기조강연은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대학 조지 은타이오스 교수가 맡는다. 발표 주제는 ‘원인불명 뇌경색 환자의 치료 및 관리’다. 또 중국 수도의과대학의 리핑 리우 교수는 ‘뇌경색 재관류 치료의 최신 지견’을 발표한다. 이와 함께 스페인 발 데 헤브론 병원 카를로스 몰리나 교수도 ‘정맥내 혈전용해술에서 테넥테플라제의 역할’에 대해 특별강연을 진행한다.
학회 동안 국내외 연구진들이 총 211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며 활발한 학술 교류가 이뤄질 예정이다. 28일에 열리는 정책 세션에서는 국내 뇌졸중 센터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 간 격차 해소 및 효율적 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제도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가 이뤄진다.
아울러 한국뇌졸중유전체연구회 심포지엄에서는 유전체 기반 빅데이터 연구의 최신 동향과 뇌졸중의 유전적 요인에 대해 다룬다. 뇌졸중 전문간호사 세션에서는 뇌졸중의 원인, 이차 예방, 위험인자 조절 등 실무 중심 교육이 제공된다.
김경문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 교수)은 “ICSU & ICAS 2025가 뇌졸중의 이해와 치료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국내외 연구자와 임상의 간 활발한 교류를 위한 다양한 네트워킹 기회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