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9만 달러도 깨졌다…7개월 만에 최저

美 금리 인하 지연 우려 등 금융 불안 여파...향후 몇 달간 변동성 커질 듯

디지털경제입력 :2025/11/19 10:07    수정: 2025/11/19 11:23

18일(현지시간) 비트코인 가격이 9만 달러 아래로 내려가며 7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40분 기준 비트코인 시세는 24시간 전보다 5.6% 하락한 8만9천550달러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하며 9만3천달러선을 다시 회복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달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보복 관세 발언 이후 금융시장이 흔들리면서 한 달 넘게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비트코인 하락 원인으로 지목된다. 또, 최근 인공지능(AI) 거품론이 부상하며 주식시장마저 조정을 받자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도 역시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실리앙 탕 모나크 에셋 매니지먼트 관리 파트너는 "연준의 12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50% 아래로 떨어지면서 비트코인이 심리적 저지선으로 여기지는 10만 달러 선이 무너진 이후 계속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10월 초에는 매도세로 190억 달러 이상의 청산이 발생하고 토큰 시장 가치가 1조 달러 이상 증발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지지선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일부 기관 투자자들은 비교적 버티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참여와 저점 매수는 약화됐고, 특히 투기성 알트코인에서 두드러졌다.

2일(미국 현지시간) 백악관 앞에서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백악관)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현물상장지수펀드(ETF)의 매도세와 디지털 자산 국채의 급락이 비트코인 전망을 더 불확실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린 마이클 세일러의 스트래티지와 같은 상장 기업들은 부담이 커진 상태다.

관련기사

미국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 펀드(ETF)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수천억 달러의 신규 자산을 추가하며 운용자산을 최대 1천690억 달러 수준까지 끌어올렸으나, 이번 달에는 약 28억 달러의 자금 유출을 보였다고 전해졌다.

닉 럭 LVRG 리서치 이사는 "장기 투자자들은 이번 하락을 좋은 매수 기회로 보고 있지만, 글로벌 거시경제 변수로 인해 거래 기관들이 위험을 줄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향후 몇 달 동안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