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앱스타인 스캔들' 직격탄…이메일 공개 후 급락

이더리움·솔라나 등 알트도 동반 하락

디지털경제입력 :2025/11/18 08:49    수정: 2025/11/18 09:21

미국 전 재무장관 래리 서머스와 테더 공동창업자 브록 피어스가 고(故) 제프리 앱스타인의 맨해튼 저택에서 비트코인 관련 논의를 나눈 정황이 담긴 이메일이 공개됐다는 보도가 전해졌다. 

미국 가상자산 매체 디크립트는 최근 공개된 이메일 일부를 인용해, 서머스 전 장관과 피어스가 2011년경 앱스타인의 개인 저택에서 가상자산 관련 미팅을 진행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해당 이메일에는 이 미팅에서 비트코인과 관련한 논의가 오간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담겨 있으며, 서머스 전 장관이 “피어스와 얘기를 나눌 가치가 있다”고 언급한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11월 18일 오전 글로벌 가상자산 시세 현황(사진=코인게코 캡처)

디크립트는 해당 문서가 미국 하원 감독위원회(U.S. House Oversight Committee) 측 검토 자료에서 공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하며, 앱스타인의 광범위한 네트워크가 가상자산 산업 초창기와 일부 맞닿아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비트코인 시장이 막 형성되기 시작하던 초기 단계에 이뤄진 해당 논의 당시 논의가 시장 구조나 초기 투자자 네트워크 형성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며 ‘초기 시장 왜곡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다만 해당 이메일 자체가 비트코인 개발·투자에 대한 직접적 개입을 입증하는 수준은 아니라는 점에서 논란과 추정이 뒤섞인 상태라는 평가도 적지 않다.

일부 해외 소셜미디어와 블로그에서는 앱스타인의 후원금이 MIT 미디어랩을 거쳐 디지털통화이니셔티브(DCI)로 유입됐고, 이를 통해 비트코인 핵심 개발자들에게 자금이 전달됐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MIT 미디어랩은 실제로 앱스타인으로부터 750만 달러 규모의 기부금을 받은 사실이 알려진 이후 투명성 문제로 곤욕을 치른 바 있다. 다만 이러한 후원금 흐름이 비트코인 개발자 개인에게 직접 연결됐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공식 문건이나 법적 판단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이 같은 정황에 더해, 일각에서는 해당 이메일에 비트코인을 개발한 사토시 나카모토의 정체를 알고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는 소문까지 퍼지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러한 스캔들성 논의가 재점화한 시점과 맞물리며 비트코인과 주요 가상자산 시세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가상자산 데이터 플랫폼 코인게코의 18일 기준 자료에 따르면 비트코인 시세는 9만1천836달러로 전일 대비 2.5%, 일주일 기준 12.8% 급락했다.

이더리움 역시 약세를 피하지 못했다. 같은 시각 3천16달러로 24시간 동안 2.4% 하락했으며, 한 주 기준 14% 이상 밀렸다. 엑스알피(XRP) 시세는 24시간 사이 2.8% 하락한 2.15달러를 기록 중이며, 솔라나도 130달러까지 시세가 내려앉았다.

관련기사

해당 이메일 공개가 비트코인의 기원이나 초기 구조에 직접적 영향을 준 사실로 확인된 것은 아니지만, 고위층 네트워크와 초기 가상자산 논의가 일부 교차했다는 정황만으로도 가상자산 시장의 불안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제프리 앱스타인이 미성년 성착취 범죄로 유죄를 받은 인물이라는 점, 그와 연관된 문건이 정치·사법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가상자산과 무관한 분야라 하더라도 정치 리스크 확대가 위험자산 선호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