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업계가 전기차 수요 부진의 여파로 대부분 공장 가동률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부 업체는 전년 대비 가동률이 오르며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배터리 3사 가운데 SK온을 제외한 기업들의 가동률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가동률은 50.7%로 절반을 가까스로 웃돌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59.8%)보다 낮았고 상반기 평균 가동률(51.3%)에도 미치지 못했다.
삼성SDI는 대형전지를 제외한 소형전지 가동률만 공시하고 있다. 소형전지 가동률은 지난해 3분기 69%에서 올해 3분기 49%로 크게 떨어졌다. 반면 SK온은 지난해 46.2%였던 가동률이 올해 3분기 52.3%로 올라 배터리 셀 3사 중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가동률이 개선됐다.
이차전지 소재 업체들의 가동률도 업체별로 엇갈렸다. 주요 양극재 업체인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는 정보 유출 우려 등을 이유로 가동률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LG화학의 양극재 부문 3분기 가동률은 47.5%로, 지난해 같은 기간(69.1%)보다 크게 하락했다. 코스모신소재 역시 지난해 3분기 43%였던 가동률이 올해 3분기 12.65%로 급감했다.
전해액 업체의 경우 엔켐(10.63%)과 솔브레인(15%)은 전년 동기 대비 가동률이 낮아졌지만, 동화일렉트로라이트는 지난해 3분기 33.3%에서 올해 48.2%로 가동률이 개선됐다.
관련기사
- "성능만으론 부족"…K-배터리 업계, 고객 신뢰·공정 혁신 강조2025.09.17
- 삼성SDI, 상반기 배터리3사 R&D 투자 1위…매출 대비 11.1%2025.08.14
- K배터리, 2분기 공장 가동률 전분기 대비 상승2025.08.14
- K배터리, 1~9월 전기차 점유율 16.9%…3.3%p ↓2025.11.04
동박 업체들도 흐름이 엇갈렸다. SK넥실리스는 말레이시아 공장 램프업 효과로 가동률이 지난해 32.5%에서 58.3%로 뛰었으나,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같은 기간 71.8%에서 49%로 크게 떨어졌다.
음극 활물질을 생산하는 한솔케미칼은 지난해 32.4%에 그쳤던 가동률이 올해 55.7%로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다만, 한솔케미칼의 경우 전자(반도체·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 소재 가동률을 합해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업황 개선 영향으로 가동률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