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기업의 2분기 공장 가동률이 전분기 대비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이 기업들은 반기보고서를 발표하고 올해 상반기 생산설비 실적을 공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상반기 배터리 공장 평균 가동률은 51.3%로 나타났다. 1분기 가동률인 51.1%였던 점을 감안하면 2분기 공장 평균 가동률이 소폭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SDI의 경우 소형전지에 한해 공개한 올 상반기 공장 평균 가동률이 44%로 1분기 32%보다 올랐다.
SK온의 올 상반기 중대형 전지 공장 평균 가동률은 52.2%로 1분기 43.6%보다 상승했다.
2분기 실적은 기업별로 엇갈린 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미국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을 수요가 높은 ESS용으로 전환하면서 2분기 연속 영업이익을 개선했다.
관련기사
- 상반기 非중국 전기차 시장 'K배터리' 점유율 37.5%…전년비 하락2025.08.06
- SK온도 양산 채비…K배터리 ‘美 ESS’ 3파전 본격화2025.07.17
- 1~4월 전기차 'K배터리' 점유율 17.9%…4.6%p ↓2025.06.04
- K배터리, 1분기 전기차 시장 점유율 18.7%…전년比 4.6%p ↓2025.05.07
SK온은 핵심 고객사인 현대자동차그룹 미국 공장이 지난 3월 준공됨에 따라 북미 배터리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70% 이상 대폭 증가하는 등 매출과 영업손익 개선 폭이 컸다.
삼성SDI는 전기차용 중대형 배터리 사업의 경우 전기차 고객사의 실적 부진으로 판매가 저조했다. 반면 공장 가동률을 공시하는 소형전지 부문의 경우 수익성 개선이 나타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