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위크-바이오헬스가 12일 서울 서초 엘타워에서 개최됐다.
오는 14일까지 열리는 행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최하고,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가 공동주관했다. 올해로 5회째.
행사 첫날인 12일에는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학술회의, K-BIC 벤처카페, 유공자 및 단체에 대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등이 이뤄졌다.
또 ‘디지털헬스케어와 AI로 여는 헬스케어 융합의 시대’를 주제로 국내외 기업의 발표가 이어졌다.
연자 및 발표주제는 ▲BMS 스티브 스기노 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부사장 ‘헬스케어 혁신 가속화: 인공지능, 파트너십, 디지털 전환의 활용’ ▲암젠 마사 S. ARIA 부문 부사장 겸 본부장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혁신과 암젠 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존슨앤드존슨 메드텍 김은하 북아시아 전략·혁신 총괄 책임자 ‘미래 의료기기 산업: 디지털 혁신과 바이오 융합의 방향’ ▲석차옥 갤럭스 대표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약품 설계 혁신 전략’ 등이다.
또 ‘글로벌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기회 모색’을 주제로 투자자와 기술기업의 전망도 제시도 눈길을 끌었다.
연자 및 발제는 ▲유진투자증권 권해순 리서치센터 연구위원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 3.0: 다음 성장 시대를 향하여’ ▲베링거인겔하임 캐서린 리우 벤처펀드 아시아 투자이사 ‘베링거인겔하임 벤처펀드의 외부 혁신 투자 전략’ ▲일라이릴리 걸키랏 싱 아시아 벤처캐피털·기업사업개발 담당 부사장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혁신과학 촉진’ ▲삼진제약 이수민 연구센터장 ‘삼진제약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과 협력 기회’ ▲비오메리오 테이 라이혹 사업개발 담당 상무 ‘감염질환 진단 분야에서의 비오메리으 협력 사례’ ▲노보 노디스크 캘빈 천 아시아·태평양 외부혁신 담당 부본부장 ‘노보 노디스크와의 파트너십 전략’ ▲바이엘 노부히로 카자마 Collaborate to Cure 허브 책임자 ‘혁신을 함께 만드는 Bayer의 공동창출 모델’ ▲유한양행 최영기 중앙연구소 부소장 ‘유한양행의 글로벌 혁신 협력 전략’ ▲사노피 잉양 중화권 전략·사업개발 총괄 책임자 ‘혁신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로서의 협력 모델’ 등이다.
또한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13일 ‘국내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기업·기술동향 공유’를 주제로, ‘2025 KPBMA 오픈이노베이션 플라자’를 연다. 이후 일대일 사업 협력 회의를 통해 18개 국내·외 기술 수요기업과 국내 104개 기업 간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최근 바이오헬스산업은 디지털헬스, AI 등 기술 발전에 따른 급격한 기술 융합과 경쟁 심화로 개별 기업의 역량만으로는 성장이 어렵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공동 연구개발, 기술이전, 투자협력 등 여러 방식의 협업을 위한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차순도 보산진 원장도 “바이오헬스 전 분야 기업들이 글로벌 파트너와 직접 만나 기술 협력 가능성을 검토하고, 해외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는 협력의 장이 될 것”이라며 “국내 혁신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규모를 지속적 확대하겠다”라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