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 "정부 R&D 생태계 혁신안 긍적적....정교하게 운영해야"

의대쏠림 현상 등 막기 위해 과학기술인 국가적 보상체계 마련 필요

취업/HR/교육입력 :2025/11/10 10:57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정진호)이 10일 정부의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 및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 방안’에 대해 긍정 평가했다. 다만, 세부 설계 단계에서 연구 현장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림원 측은 "정부가 발표한 과학기술 혁신 정책의 주요 내용인 △우수 과학기술 인재 확보 및 전 생애 인재 성장 생태계 구축 △도전과 몰입을 위한 환경 조성 △연구자 자율성과 책임의 강화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정부 R&D 투자 체계 확립 등은 그동안 과학기술계에서 꾸준히 제안했던 사항"이라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자료:DGIST 중앙기기센터 소자클린룸 전경.(사진=DGIST)

초·중등 교육에서 대학(원)생, 신진연구자를 거쳐 국가과학자에 이르기까지 과학자 성장 트랙을 제시한 점과 청년·신진 연구자의 일자리 확대, 기초연구 지원 강화, 산학연 인재 순환 활성화 등 창의와 자율, 도전을 위한 과학기술  인재 정책을 최우선한 점도 높이 평가했다.

이와함께 정권 교체에 따른 예산 변동을 최소화하고 정부 총지출 대비 연 5% 수준으로 예측 가능한 R&D 예산 확대·투자 체계를 마련하려는 방향은, 인재 정책과 맞물려 지속 가능한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과 과학기술 정책 효과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림원은 다만, 인재 성장과 R&D 혁신, 경제·산업 발전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국가 차원의 범부처 통합 거버넌스 아래 정교한 운영 설계를 당부했다.

관련기사

또 우수 인재의 ‘의대 쏠림’이 심화된 현시점에서 과학자의 위상 제고를 위해서는 ‘국가과학자’ 제도뿐만 아니라 우수 과학자가 지속적으로 인정받고 성장할 수 있는 국가적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을 제안했다.

정진호 원장은 "이번 정책이 실제 혁신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세부 실행전략을 구체화하고 이를 현장에 안착시켜야 한다"며 현장 의견의 폭넓은 수렴과 충분한 조율을 통해 국민과 과학기술계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장기적 안목의 견고한 R&D 시스템 구축을 기대했다.